황우여 경선룰 논의기구, 최고위 산하…非朴 반발

  • 등록 2012.06.18 06:38:35
크게보기

황우여 당 밖에 둘 수 없어…중립성 있게 충분히 논의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대선 경선 룰(Rule) 논의기구를 최고위 산하로 18일에 출범하겠다고 밝혔다.

취임 한 달을 맞은 황 대표는 "경선 룰 논의기구는 18일은 출범 해야할 것 같다"고 했다.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비박(非朴ㆍ비박근혜)계가 주장하는 "별도기구"가 아닌, "최고위 산하"에 두겠다는 뜻도 분명히 밝혀 "대충돌"을 예고했다.

"최고위 산하에 둔다. 당 밖에 둘 수는 없는 것 아니겠느냐. (최고위 산하에 있어야) 최고위에 자동적으로 안건이 올라오고 상임전국위, 전국위까지 가는 것도 편하다."

앞서 경선 룰 논의기구는 앞서 지난 1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 산하에 설치하는 쪽으로 방향이 잡혔으나 비박계의 반발이 거세 "비박 주자 3인" 대리인과 회동했으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접점을 찾지 못했다.

김문수 경기지사,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 등 "비박 3인방"은 이러한 입장이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의 의중을 반영한 것인 만큼 수용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경선 룰을 고쳐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 황우여 "최고위 산하 경선룰 논의기구 출범"

황 대표는 일단 논의기구를 출범 시킨 뒤 경선 룰 논쟁을 당내에서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후보들이 경선 룰 논의기구의 "대리인" 참여를 위해서는 예비후보등록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 논의기구에서 중립성 있게 충분히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하려고 한다. 주자들의 예비후보등록이 중요하다. 예비후보로 등록해야 그들의 대리인도 자격이 생긴다."

황 대표는 지난 16일 이재오 의원, 17일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의 면담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비박 주자들이 황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도 경선 룰 개정을 강력하게 요구했음을 시사했다.

"경선룰에 대한 의견이 조금씩 다르더라. 이 의원은 논의기구가 필요하다고 했고, 임 전 실장은 시간을 갖고 논의하자는 입장이었다. 밖에서 하는 얘기와 안에서 하는 얘기가 똑같더라."

그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과는 "아직 만날 계획은 없지만 곧 만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 비박 반발…정몽준 "황우여와 안만나" 김문수 "박근혜 눈치만‥"

그러나 황 대표가 비박주자들과 "연쇄회동"을 갖고 조율에 나섰지만 대선 경선 룰에 관한 봉합점을 찾기는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당장 김문수 지사, 정몽준 의원은 같은 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황 대표의 "선(先) 대선 예비후보등록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특히 정 의원은 황 대표와 만나지 않겠다고도 했다.

"현 상태에서 황우여 대표가 공정한 경선관리인이냐는데 저는 약간의 의구심을 갖고 있다. 어제 황 대표와의 전화에서 황 대표를 따로 만날 필요가 없다고 말씀드렸다. 당 대표가 공정하지 못하다는 의구심을 받고 있는데 자꾸 "예비후보등록을 하라"고 한다. 하든 안하든 후보 본인이 판단할 사안이다."

특히 최근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사건을 거론하며, 현행 경선 룰을 그대로 따를 수 없다고 했다.

"지난 19대 총선 과정에서 지역구 공천과 비례대표 공천 과정이 투명하거나 공정하지 못했으며 200만 당원의 명부가 유출됐다. 이런 구도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선규칙은 공정하지 못하다."

김문수 경기지사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당장 예비후보로 등록할 생각이 없다고 했다.

"지금 상황에서 무슨 후보 등록을 해 무슨 경선이 가능한가. 요즘 새누리당의 가장 문제는 누구의 마음, 심기를 살피고 받들어 모신다는 것이다. 언제부터 우리 당이 이렇게 됐는가."

당 지도부가 경선 룰 갈등 과정에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의 입장을 따르고 비박계 주자들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요구를 무시하는데 대한 비판을 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열려있는 수평적대화가 되고 함께 같은 방향으로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는 정당을 만들고 싶다. 그런 리더십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과제이다."

김 지사는 오후엔 황 대표와 회동에서 당내 경선룰 협의기구를 당대표 산하 직속기구로 설치해달라고 제안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실시"를 거듭 요청했다.

김 지사가 "여야가 동시에 치르는 오픈프라이머리 실시를 위한 선거법 개정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하자, 황 대표는 "존중한다"고 답했다.

오픈프라이머리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역선택" 우려를 씻기 위해 여야가 같은 날 치르자는 뜻이다.

친박계인 윤상현 의원은 같은 날 오후 기자회견을 갖고 비박계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요구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려면 작년, 재작년부터 논의하고 제도적 보완을 위한 공청회나 토론을 했어야 하는데 총선이 끝나자마자 말하는 것은 정치공학적 시도로 진정성이 없어 보인다. 안철수 지지자들이 새누리당 오픈프라이머리에 들어와 역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윤 의원은 오픈프라머리가 도입될 경우, 새누리당 당원들은 주인이 아닌 객(客)이 될 가능성이 짙게 되고 대통령 선거를 두번 치르는 격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18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경선 룰을 최고위 산하에 두는 방안을 확정지을 전망이어서 비박측과 지도부 간의 갈등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최유경 기자
미디어 뉴스 기자 soc8@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