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위원장(동구2)은 학생 통학로 안전과 학교 주변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통·치안·시설 개선은 교육지원청과 지자체, 관계기관 간 유기적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개정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과 관련해, “지역 특성과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교육지원청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손한국 위원(달성군3)은 학교 전기료 상승에 따른 에너지 절감 교육 실태를 지적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학교 옥상 임대형 태양광 발전사업 도입 확대를 제안했다. 아울러 학생 독서환경 개선을 위해 “도서구입비 편성과 집행 과정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화 위원(서구2)은 최근 발생한 유치원 아동학대 사건에 대해 재발 방지대책과 CCTV 설치 운영 현황을 점검하며 “아동 안전 강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관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교육환경전환 전학 제도의 운영 과정에서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에 대한 조기 지원과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우근 위원(남구1)은 교육지원청별 학교폭력 현황과 대응 체계를 확인하며 “사안 처리 과정의 신뢰 확보가 관건”이라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운영의 전문성과 투명성 강화를 요구했다.
이영애 위원(달서구1)은 유치원 통·폐합 추진 시 학부모 편의를 위한 통학차량 지원 계획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공립유치원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효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또한 학원 및 교습소 강사 채용 과정에서 성범죄·아동학대 전력 미조회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점검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전경원 위원(수성구4)은 특성화중학교로 전환한 군위 부계중학교의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 상황을 언급하며 “정확한 교육수요 분석, 우수 교사 확보, 본청과의 긴밀한 연계가 향후 학생 모집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육위원회는 이번 감사를 통해 확인된 문제점과 정책 과제를 바탕으로, 지역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 안전·학습권 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