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지역응급의료네트워크 요양병원까지 확대

  • 등록 2025.08.02 21:25:55
크게보기

고령 환자 불필요한 전원 줄이고 이송 체계 효율화… 요양병원 46곳 참여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광역시가 고령 환자의 불필요한 병원 전원을 줄이고 환자 이송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역응급의료네트워크 사업’을 요양병원까지 확대한다.


기존에는 주로 급성기 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응급의료 네트워크에 요양병원을 새롭게 참여시켜, 고령화로 급증하는 병원 간 이송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최근 고령 환자가 증가하면서 요양병원으로의 전원과 다시 대형병원 응급실로 회송되는 재전원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환자 정보 부족이나 병원 간 소통 미비로 진료 연속성이 저해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요양병원의 진료역량을 평가하는 자원조사를 바탕으로 전원 기준을 정비하고, 급성기 병원과 요양병원 간의 소통을 강화해 전원 과정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특히 환자 증상에 따라 맞춤형 전원이 이뤄지도록 해 불필요한 이송이나 수용 거부 등의 문제를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지난 7월 30일, 경북대학교병원 대강당에서 ‘지역응급의료네트워크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대구 지역 46개 요양병원에서 63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설명회에서는 문성배 대구시 응급의료지원단 사무차장이 사업 운영절차, 실적, 효과 등을 소개하며 참여를 독려했고, 김윤주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은 요양병원 장기 입원환자에 대한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주제로 강의했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요양병원에서도 고령 환자가 적기에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이번 사업에 적극 동참해달라”며 “지역 의료기관 간 네트워크를 더욱 촘촘하게 구축해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역응급의료네트워크 사업’은 대구시 응급의료지원단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현재 6개 센터급 응급의료기관(중심병원)과 57개 2차 협력병원이 참여 중이다. 중심병원 응급실에는 전원 코디네이터가 상주하며 연간 약 2,000건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