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의회 이연미 의원, 재개발·재건축 사업 지연 해소 촉구

  • 등록 2025.10.22 21:50:51
크게보기

— 미분양 해소·임대주택 전환·신중한 인허가 강조 —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2025년 10월 22일,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제34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이연미 경제복지위원회 부의장(신천·효목동 지역구)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동구 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의 지연 및 중단 문제 해결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 의원은 “재개발·재건축은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경관 향상,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핵심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지연 또는 중단되고 있다”며 “특히 동구의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2025년 7월 기준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인용해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6만 2,244호에 달하며, 대구는 8,977호로 전국 2위”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 동구만 해도 미분양 아파트가 1,427호로, 대구 9개 구·군 중 2위를 차지할 만큼 공급 과잉이 심각하다”며 “이 같은 상황은 시공사의 신규 착공을 지연시키고, 결국 지역 주거 안정과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 “미분양 아파트, 임대주택으로 전환해야”

이 의원은 지연된 정비사업의 근본 원인인 미분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으로, 일부 미분양 아파트를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미분양 주택을 청년층과 신혼부부, 고령층을 위한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면 인구 유입과 지역 활력 제고,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시장 실패로만 보지 말고 다양한 계층의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는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무분별한 인허가 지양…실수요 기반 개발 필요”

이 의원은 또 다른 대안으로, 장래 수요와 공급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인허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기적인 개발 이익이나 공급 확대에 매몰되지 말고, 인구 변화와 실제 주거 수요를 면밀히 분석해 추진해야 한다”며 “이것이 장기적인 사업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 “주민 삶의 질과 직결된 사안…행정의 책임 있는 대응 필요”

이 의원은 발언을 마무리하며 “정비사업 지연의 피해자는 결국 주민들”이라며 “대구시와 동구청은 이 문제를 단순한 행정 과제가 아닌 주민 삶의 질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동구가 안전하고 살기 좋은 주거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정과 의회가 함께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5길 19 107동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