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만남’ 박근혜-한명숙, ‘생활정치’ 한목소리

  • 등록 2012.01.18 07:18:06
크게보기

‘국민경선’ 도입 위한 선거법 개정 공감…韓, ‘정봉주법’ 처리 요구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한명숙 민주통합당 17일 오는 4월 총선에서 개방형 국민경선 제도(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필요성에 공감했다.

정당 역사상 첫 여성 당 대표끼리의 만남으로 언론의 관심이 집중된 이날 회동에서 박 위원장은 취임 인사차 방문한 한 대표에게 "정치가 한 단계 더 발전하려면 공천을 국민에게 돌려드려야 한다고 생각해 국민경선제를 도입하기로 했다"며 여야가 동시에 추진하도록 선거법 개정 논의에 착수할 것을 제안했다.

한 대표는 “국민이 직접 주권을 행사하겠다고 나서고, 그 요구가 폭발적이기 때문에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리면 국민의 뜻과 눈높이에 맞는 공천혁명이 이뤄질 것”이라며 “한나라당의 결정에 반가웠다. 양당에서 잘 추진했으면 한다”고 동의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18일 국회 정치개혁특위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오는 4월 총선에 앞서 개방형 국민경선 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공직선거법 개정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경선 방식과 관련, 한나라당은 ‘투표 결과 왜곡 가능성’을 이유로 모바일 투표에 대해 부정적인 반면, 민주통합당은 조직·돈 선거 차단을 위해 적극 도입할 것을 요구하는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이견을 나타내고 있다.

한 대표는 “우리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 실시해 많은 시민들이 접근하기가 쉬웠다”면서 “공천할 때도 모바일 선거 도입하겠다. 어느 지역에 사는 사람인지 밝히기 어려워 정보통신법과 선거법 등 간략히 개정하면 사실상 낡은 정치, 동원 정치, 돈 정치가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정봉주 씨가 감옥에 있다”면서 “정봉주 씨가 감옥에 들어간 것은 표현의 자유와 연계된 정치탄압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 문제를 꺼내들었다.

그는 “소위 정봉주법이 발효돼 정개특위로 넘어갔는데 여야 간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에 대한 것이 논의 되면 합의가 가능할 것”이라며 “민주당은 당론으로 확정된 만큼 2월 국회에서는 이 부분이 해결됐으면 하니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검토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두 사람은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생활정치’에 힘을 쏟자는 데도 뜻을 모았다. 박 위원장은 “한 대표가 (이날 오전 라디오 연설에서) 국민생활 최우선을 얘기하셔서 많이 기대가 된다”면서 “방식은 다르지만 국민을 우선하는 목표가 같다면 여야가 국민이 원하는 새로운 정치 할 수 있겠다는 생각 들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우리나라 정치사상 처음으로 여야의 대표가 여성이 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어서 2012년이라는 해가 우리 여성들이 국민의 삶을 책임지고 가장 후진적인 정치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일을 같이 하게 됐다”면서 “여야의 여성 대표로서 앞으로 선의의 경쟁을 통해서 국민들 가까이 다가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두 사람은 이날 회동에서 열띤 취재 열기 속에 10여분에 걸쳐 대화를 나눴으며, 모든 내용은 공개로 진행됐다.

한 대표는 곧이어 통합진보당 이정희·유시민·심상정 공동대표, 창조한국당 한면희 대표를 예방하고 야권연대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김봉철 기자
미디어 뉴스 기자 soc8@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