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제7호 태풍 “카눈”은 7월 19일 09시 서울 서남서쪽 40㎞부근 해상을 지나 12시쯤 속초부근 해상에서 소멸되었으며, 이번 태풍은 크기는 소형이고, 강도는 비교적 약한 태풍이었다. 19일 새벽에 선박의 입출항이 전면 통제되었으며, 한 때 강한바람으로 가로수 48주(전주3, 군산1 남원8, 김제16, 완주19, 고창1)와 가로등 2주(완주 이서,삼례)가 전도되고, 부안 곰소에서는 소형어선 1척(1.13t)이 침수된 것으로 나타나 타시도에 비해 피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적었다고 밝혔다. 전라북도 관계자는 7월 12일부터 7월 15일까지 전라북도내 평균 125.3㎜의 비가 내려 지반이 약한상태이고, 장마전선과 겹쳐 예기치 않은 바람과 비로 인해 많은 피해가 예상되었지만, 태풍이 세력이 비교적 약했고, 특히 전라북도의 사전 대비가 크게 한 몫을 해 피해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는 5월 15부터 이미 여름철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하여 사전대비에 철저를 기하였으며, 민․관․군 25개 유관기관과 협약체결을 하고, 우기가 오기전 6월중순까지 재해위험지역 및 재해취약 시설물, 대규모공사장 사업장 전수 점검을 완료하였으며, 돌발성 인명피해 우려지역을 3월부터 매월 1회이상 점검한 바 있다. 특히, 김완주 도지사는 5월부터 수해복구 현장과 산사태 우려지역, 재해취약시설, 인명피해 우려지역 등을 지속적으로 현장행정을 실시해 전시군이 합심하여 풍수해 예방에 노력해왔다. 태풍이 오기전 하루 전에는 비상2단계 근무를 발령하고, 공무원 937명(도 70명, 시군 867명)이 24시간 상시 비상근무에 투입되어 태풍에 대비하였다. 이번 태풍 “카눈” 북상에 따른 16일부터 대처 내용은 먼저, 분야별 재해예경보시설 및 재해위험지역 대비 점검으로, 태풍․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으로부터 지역주민 및 행락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현장 상황전파가 중요함에 따라 초기단계인 산간계곡 경보시설 및 자동음성통보시스템 341개소와 침수예상지역의 배수 펌프장 79개소, 급경사지 53개소, 세월교, 48개소와 산간마을, 고립위험예상 마을등 돌발성 피해우려 지역, 재해저감시설 등 분야별로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현장을 점검하였다.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대하여는 주민대피계획에 따른 연락처, 대피장소, 대피로 등에 대한 주민홍보와 연락체계를 확립하고, 위험지역에 사전주민홍보, 지속적인 예찰 및 조치토록하고, 비상 단계별에 따라 단계부터 낚시, 야영, 레프팅, 물놀이 등 피서행위 금지, 위험구역 등 해당 지역에 안내요원 사전 배치 활동 등 재해상황에 대비하여 만전을 기하였다. 유관기관과 민관군 협력 체계는 자치단체와 군부대·민간단체·자원봉사네트워크 등과 민관군 재난 대응 상호협력체계 가동을 위한 재정비와 비상연락체계 구축, 가용인력·장비·자재 현황파악 및 동원 체계 확립 등 유사시 신속히 지원될 수 있도록 사전협의를 완료 한 상태이다. 섬진강, 영산강, 금강권역 3개 유역의 댐․저수지등 홍수재해 취약지역에 합동 비상기획단과 긴밀한 협조 체계로 댐․저수지 예비방류 검토를 실시하고 지역자율방재단(3,330명)을 중심으로 오늘부터 재해를 유발시키는 잔재물 등의 사전 점검 및 제거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전북재대본은 앞으로도 태풍 정보를 실시간 파악하여 상황분석·판단시스템을 활용한 사전예측을 통한 한발 빠른 대응을 위하여 초단기 강우 및 하천범람 우려지역 등을 사전예측 분석정보 결과를 실시간 확인하여 시·군 및 해당기관에 통보하여 주민대피·통제 등 신속한 대응조치 실시하고, 인명피해 우려지역 등에 대하여 예비특보 단계부터 국민행동요령 등에 대하여 홍보를 실시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토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