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유아용품 전성시대, 국산브랜드 생존법

  • 등록 2013.01.18 14:30:26
크게보기

‘프리미엄’, ‘리브랜딩’ 전략으로 수입 제품에 승부수

[더타임스 김우진 기자] 국내 유아용품 시장은 세계적인 테스트 마켓으로 자리잡을 만큼 글로벌 브랜드들의 주요 시장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유아용품 수입액은 20003300만달러에서 201022800만달러로 10년 만에 약 7배 가까이 성장했다. 유모차나 기저귀 등의 경우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모두 국내에 들어와있을 정도로 국내 유아용품 시장은 수입산 제품들로 포화상태다.

 

이렇게 수입 제품들의 시장 영향력이 강화되다 보니 우리나라에서 수입제품들은 가격도 더 비싸게 받는 경향이 있다. 지난해 3월 소비자시민모임의 발표를 보면 수입 유모차의 경우 일부 제품들의 국내 판매가격이 다른 해외 수입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보다 1.33~2.21배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일종의 가격거품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부담은 자연스레 소비자들의 몫이다.

국내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유아의류만 1조원, 전체 용품 27조원 정도로 추산된다. 이렇게 큰 규모의 유아용품 시장이 수입품 위주로 구성되어 대외의존도가 계속 높아지는 것은 국내 경제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분석이 있다. 유아용품전문업체 쁘레베베의 정세훈 대표는 수입 브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큰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본사에서 가격을 쉽게 올리거나 국내 수입 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직접 진출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이렇게 되면 기존에 수입업을 하던 국내 업체들에게는 당장의 먹을거리를 빼앗기는 것이 되며, 소비자에겐 가격 부담 가중과 A/S의 불편함 등 여러 피해를 주게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프리미엄화 꾀하는 국산 유아용품

 

국내 시장을 점유하는 대부분의 수입 제품들은 프리미엄을 강조하고 있다. ‘골드키즈등으로 드러나는 국내 유아용품 소비자들의 성향은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다. 수많은 수입 제품들 사이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프리미엄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국내 업체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트렌드를 고려해 수입산 제품에 맞서 국산 제품의 프리미엄화를 통해 수입 제품들을 뛰어넘으려는 시도들이 진행 중이다.

 

유아용품의 프리미엄화는 특히 아이 피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기저귀나 스킨케어용품 및 의류 등에서 두드러진다. 지난 해 보령메디앙스는 프리미엄 기저귀에, 유한킴벌리는 유기농 유아복 시장에 첫 진출했다. 아가방앤컴퍼니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100% 천연 약용 추출물을 활용한 유아스킨케어용품엔젤스 매직 퓨토를 내놓았다. 업체들은 유기농 및 한방 등의 기술력을 집중시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리브랜딩등 브랜드 독립으로 유아용품 한류 시도

 

2011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유모차는 독일 브랜드 키디(Kiddy). 키디는 불만제로 유모차로 알려지면서 국내 소비자들에게 크게 어필했다. 키디의 인기에 힘입어 공식수입판매업체인 쁘레베베는 독일 본사에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해서 제품을 개선해왔다. 그러던 지난해 초 키디 클릭앤무브2(이하 CM2)’를 직접 개발 및 디자인해 국내 및 아시아권에 판매했고 좋은 반응을 얻었다.

 

쁘레베베는 최근 키디CM2’ 모델을 자체 브랜드인 페도라(fedora)페도라베이비S9’으로 리브랜딩(Re-branding) 하면서 브랜드 독립선언을 했다. 쁘레베베의 페도라 개발 총 책임자 유정찬 전무는 순수 자체 기술을 가지고 굳이 독일 브랜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서 리브랜딩을 진행했다국산 제품이 단순히 브랜드로만 판단될 것이 아니며 결코 우리의 기술도 해외에 뒤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전이다고 말했다.

 

키디CM2’는 합리적 가격과 뛰어난 성능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인정받아왔는데, ’페도라베이비S9’으로의 리브랜딩 과정에서 소비자 편의를 위해 제품에 기능을 추가했다. 기존에 ▲서스펜션 ▲양대면 ▲원터치폴딩 ▲볼베어링 적용을 통한 부드러운 핸들링 ▲키디맥시프로카시트와 호환되는 트레블 시스템 등 디럭스 유모차로서의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었는데, ‘이지 캐리어(easy carrier)’기능(유모차를 접어 세운 상태 그대로 앞바퀴를 이용해 손쉽게 끌어서 운반), 차양막의 통풍창과 아이관찰용창 등을 더했다.

 

쁘레베베의 페도라베이비 S9은 수년간 수입 유아용품들 다뤄오며 누적된 노하우로 개발한 종합유아용품 글로벌 브랜드로 쁘레베베는 소비자들과의 미팅과 FGI(Focus Group Interview: 표적집단심층면접) 등을 통해 제품 개발에 소셜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했다. 이렇게 국내 소비자들의 성향을 끊임없이 분석한 뒤 가격 책정이나 제품 개발을 진행해오고 있다.

 

유정찬 전무는 수입 제품 포화 상태인 국내 유아용품 시장에 페도라베이비 S9의 리브랜딩이 장차 국내 기업들과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향후 한국 유아용품시장이 단지 수입만 하는 곳이 아니라 세계로 수출해나가는 유아용품의 한류를 일으키는 곳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쁘레베베는 2013년 페도라베이비 S9 유모차 리브랜딩 론칭을 시작으로 페도라베이비 카시트 등 자체 브랜드인 페도라의 시장입지를 점차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아용품의 한류를 일으키고, 장차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김우진 기자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