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창제 제 570돌 한글날을 맞아

  • 등록 -0001.11.30 00:00:00
크게보기

매년 10월9일은 한글날로 정부와 민간부분에서는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한번 반성해야,

한글창제 제 570돌 한글날을 맞아

 

매년 109일은 한글날로 정부와 민간부분에서는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한번 반성해야,

우리의 아름다운 글을 제대로 잘 표현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야 정부문서나 교과서표기 등을 살펴보고 시정해야 할 것이며 후손들로서 부끄럽지 않게 한글을 잘 사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도록해야 할 것이다.

오늘 109일은 한글 창제570돌 한글날로 국경일, 우리는 우리말 우리글 한글 행복한 민족이다. 한글창제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무조건 쉬고나 노는 날이 아닌 기쁘고 의미 있는 날이다.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일이며,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해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일 1926114일 조선어 연구회가 주축이 되어 매년 음력 929일은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었고 정부가 지정한 공식 국경일입니다.

 

1926114일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가 주축이 되어 매년 음력 929일을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었다. 1932, 1933년에는 음력을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여 양력 1029일에 행사를 치렀으며, 1934~45년에는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여 1028일에 행사를 치렀다. 그러나 지금의 한글날은 1940훈민정음원본을 발견하여 그 말문(末文)에 적힌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근거한 것으로, 이를 양력으로 환산해보면 1446(세종 28) 109일이므로 1945년에 109일로 확정했다. 그동안 한글 날 지정에 대하여 의견도 분분하고 학자들마다 여러 의견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글날이 오늘날과 같이 109일로 정해지게 된 데에도 곡절이 많았다고 한다. 세종은 한글을 만드는 작업을 은밀하게 추진했기 때문에, 실록에도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이 분명히 나오지 않는다. 왕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건은 날짜를 정확히 명시해서 기록을 하는 게 일반적인데,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은 실록에 전혀 보이지 않다가 1443(세종 25) 12월 초의 맨 끝에 날짜를 명시하지 않고서 그냥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리고 3년 뒤인 1446(세종 28) 9월 초의 맨 끝에 역시 날짜를 명시하지 않고서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是月訓民正音成)’는 기록이 나온다.

 

자료에 의하면 이 두 기록을 놓고서 현대의 학자들은 약간의 혼란에 빠졌다. 그래서, 144312월에 한글이 일단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거기에 문제점이 많아서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3년 동안 해서 14469월에 한글을 제대로 완성했다는 식으로 해석을 내리게 되었고, 그렇다면 144312월보다는 14469월을, 한글이 만들어진 시기로 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실록에 9월 며칠인지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그냥 9월 그믐날로 가정하고 양력으로 환산하여 1029일을 한글날로 정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40년대에 방종현(方鍾鉉) 선생이 실록의 14469월 초의 기록은 문자로서의 한글이 완성된 것이 아니라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책(소위 해례본)이 완성되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실록의 14469월 초의 기록을 잘못 해석하였던 학자들은 한편으로 민망하긴 했지만, 14469월에 훈민정음이 반포되었으니 이 때를 한글날로 정해도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라는 식으로 변명을 하였다. 그래서 1029일이 한글날로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14469월에 훈민정음이 반포되었다는 것도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실록의 14469월 조 기사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고가 완성된 것을 세종에게 보고하는 내용이다.

 

당시 원고가 완성된 뒤에도 책이 간행되어 신하들에게 하사되기까지는 통상 몇 달 이상 걸린다. 따라서 14469월에 훈민정음이 반포될 수는 없는 것이다. 요즘 훈민정음 반포도라는 그림까지 그려서 걸어 놓은 곳도 있는데, 당시에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하는 어떤 공식 행사를 열었다는 기록도 없다. 요컨대 한글날이 1029일로 정해졌던 것은 학자들의 사료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웃지 못 할 사건이었던 것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본이 발견되었다. 그런데 그 정인지의 서문에 세종 289월 상순이라고 날짜가 적혀 있다. 역시 정확한 날짜는 아니나 애초에 9월 그믐으로 잡았던 것에서 20일 정도 앞당길 필요가 생기게 된 것이다. 그래서 1029일에서 20일을 앞당겨서 109일을 한글날로 정하게 되었다. 한글날이 정해지게 된 경위는 이렇게 우여곡절이 많았고 웃지 못 할 사건도 있었으나, 세종이 한글을 만든 취지와 한글의 과학성을 온 국민이 되새겨 볼 기념일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미국의 어느 언어학자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가 만들어진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자기 집에서 파티를 연다고 한다. 한글이라는 좋은 문자가 지금 나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글날이 아니라도 가끔씩은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매년 109일 한글날에는 세종문화상을 시상하고 세종대왕의 능인 여주 영릉(英陵)을 참배하며 전국에서 학술대회 및 각종 백일장을 거행한다. 109일은 한글창제 제590돌 한글날이다. 올해부터 법정공휴일로 지정됐다.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을 추모하기 위해서다. 우리는 공기나 물의 고마움을 잘 모르듯이 우리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 한글에 대한 고마움을 잘 모를 뿐만 아니라 잘못 표현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합법적인 공휴일로 지정된 이번 한글날을 기해서 학교 선생님이나 지식인들이나 언론인 정치인 방송 언론인들로 부터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우리 한글을 폄하하고 외래어와 한자(漢字)를 즐겨 쓴 것을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며, 그리고 우리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며 바로 쓰도록 우리 모두가 다 같이 한글창제 제570돌을 맞아 정부와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여 한글을 더 발전시키고 많이 사용하여 쉽고 편리한 한글이 세계의 글이 될 수 있게 선조의 배려와 노력에 뒤지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글의 우수성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글쓴이/정병기<칼럼니스트>

정병기 기자 jbg1219@paran.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