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숙 의원 발의‘ 공영장례 지원 조례안 심사 통과 ’

  • 등록 2022.02.14 19:24:37
크게보기

외로운 죽음도 존엄성 지킬 수 있도록...

제정조례안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심사 통과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시의회 배지숙 의원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구시 무연고 사망자들이 변변한 장례의식도 없이 단지 처리되고 있다는데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례안을 발의했다.

 

배지숙 의원(문화복지위원회)이 가족해체와 빈곤 등으로 장례를 치를 수 없는 무연고 사망자와 저소득층의 공영장례 지원을 목적으로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공영장례 지원 조례안14()에 열린 문화복지위원회 안건심사를 통과했다.

 

무연고 사망자들이 (201678명에서 2020190명으로 5년 사이에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되자, 배지숙 의원은 안건심사를 위한 제안 설명에서 오늘날 가족해체, 빈곤,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가족 및 사회적 관계가 취약해지면서 사회적 고립 속에서 외롭게 죽음을 맞이하는 무연고 사망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라고 당면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장례를 치를 수 없는 무연고자 및 저소득층의 장례를 지원하여 고인에 대한 예우를 갖추고 최소한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공영장례 제도를 마련하고자 제정 조례안을 발의했다라고 제안이유를 설명했다.

 

제정 조례안에는 공영장례 지원대상자를 사망 당시 대구시에 주민등록을 둔 사람 중 무연고자와 저소득층 중 연고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인 경우, 75세 이상 노인으로만 구성되어 장제처리 능력이 없는 경우 등으로 규정하였다.

 

지원은 장례절차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인력, 물품, 장소, 차량 등 현물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만 현금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했으며, 화장문화 장려를 위해 매장 비용은 지원하지 않는다.

 

배지숙 의원은 인간은 누구나 존엄한 삶의 마무리가 보장되어야 하며, 죽은 사람을 존엄하게 보내는 사회는 산 사람도 존엄하게 대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라며, “이번 조례 제정을 계기로 대구시민 누구나 존엄하게 삶을 마무리 할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로 공영장례가 운영되고 정착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조례안은 상임위원회 안건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오는 17()에 열리는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오는 7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