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학회 “한국잡지 120년...” 기자회견

  • 등록 2022.05.09 21:19:26
크게보기

‘한국잡지 120년 역사와 시대정신’ 밝히는 학술대회

기자간담회 5월 12일 2시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한국출판학회는 한국잡지 120년을 조명하고 빛과 그림자, <경향잡지>의 시대정신 그리고 그 의의와 과제에 대한 기자회견을 512일 서울 프레스센터 개최한다 .

 

한국인에 의한 최초의 근대잡지는 1896215일 대조선인 일본유학생친목회에서 창간한 <친목회회보>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1908년 최남선이 창간한 <소년>을 종합 잡지의 효시로 보고 있다. 그 뒤로 한국 잡지는 다양하고도 올곧은 시대정신을 담아내며 120년 역사를 기록해 왔다.

 

이에 출판과 잡지 연구의 모체인 한국출판학회는, 잡지 창간호 박물관을 운영하는 가천문화재단 후원 아래, 오는 5122시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한국잡지 120, 시대를 말하다란 대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날 김진두 서일대학교 교수는 1930년대의 여성 잡지인 <삼천리>를 통해 당시의 여성들이 페미니즘을 어떻게 이끌어 나갔는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삼천리>에서는 민족 문제와 계급문제 그리고 여성문제의 동시적 해결을 주장하였다. 김교수는 봉건적 이데올로기를 타파하고 여성지위 향상을 위한 당시의 노력을 조망해볼 예정이다.

 

교육학 전공의 김희주 씨는 1940년대부터 1990년까지의 교육잡지 창간호 22종을 살펴 각 연도별로 교육 가치관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해방 이후 창간호에 나타난 가치관은 교육의 재건이었으며, ‘60년대와 ’70년대에는 교육의 대중화가 핵심적인 가치였다. ‘80년대에는 교육의 전문화가 주된 가치였으며, ’참교육의 탄생으로 대변되는 90년대에는 교육의 다양화가 부상하는 가치였다.


부길만 동원대학교 명예교수는 <잡지로 보는 일제감정기-잡지 창간호를 중심으로> 라는 발제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왕조사관이나 경제사관과는 전혀 다른 출판문화사관으로 바라볼 예정이다. 부교수는 역사를 서적과 잡지의 시각에서 바라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최남선, 방정환, 김동환, 차상찬의 활동을 출판문화사적 측면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윤세민 경인여자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 최장수 잡지인 <경향잡지>는 곧 한국잡지의 역사이며 한국천주교의 역사라고 주장하며, “지난 120년 동안 이땅의 교회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신앙의 백년지기’, ‘민족의 백년지기로서 목소리를 울려 왔던 <경향잡지>는 민족을 배신하는 부끄러운 자화상을 보이기도 했다고 말한다. 윤교수는 이런 빛과 그림자를 밝혀내며, <경향잡지>의 시대정신 그리고 그 의의와 과제를 제언할 것이다.

 

528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금번 학술대회는 120년 한국잡지 역사를 학술적으로 냉철하게 되돌아보는 가운데, 잡지 창간호의 가치와 의의, 120년 한국잡지가 담아온 시대정신을 올곧게 밝히는 뜻깊은 자리가 되리라 기대된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