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암즈 마태식 기자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오전 10시, 서울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AI 생태계 구축, 국민의힘으로 이루겠습니다’ 간담회에 참석해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위한 당 차원의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AI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대표, 서울AI허브 및 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들이 함께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국가 차원의 전략 마련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오늘 자리에 함께해 주신 인공지능 기업 대표 여러분들과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며 “AI 기술은 초거대AI, 생성형AI, 지능형 에이전트,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제는 국방과 경제 안보에도 직결되는 국가 전략 기술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산업과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역량을 갖추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혁신을 주도하는 스타트업들이 등장하고 있다”면서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유니콘 기업의 부재, 컴퓨팅 자원 및 민간 투자 부족은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권 위원장은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를 위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중심의 기술 혁신이 활발히 이뤄져야 하며, 대기업과의 개방형 협력 생태계 구축이 중요하다”며 “국가 역량과 민간 혁신의 시너지를 발휘해 우리나라 AI 산업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정부는 국가 주도의 LLM 개발, 컴퓨팅 센터 구축 같은 핵심 인프라에 힘써야 하며,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함께 자리한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한국의 AI산업은 현재 글로벌 6위 수준으로 평가되며, 이를 G3로 도약시키기 위한 투자 계획을 검토 중”이라며 “금년도 본예산에는 약 1.8조 원의 AI 관련 예산이 편성됐으며, 추경에서는 최소 2조 원 이상 편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AI는 기술 경쟁이기도 하지만 물량 싸움”이라며 “더 많은 데이터, GPU,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중국이 오히려 모범이 되는 측면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끝으로 “정부의 예산 지원, 투자 활성화, 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기탄없이 제시해 주시면 국회에서 입법을 통해 적극 반영하고 정부와 정책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AI 분야의 민간 전문가 및 기업들의 실질적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글로벌 경쟁 속에서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