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스 유한나 기자] 새누리당 아동ㆍ여성 성범죄 근절 특별위원회 간사인 신의진 의원은 3일 나주 성폭행 사건의 피해아동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당시 경찰이나 해바라기 센터 등 아동피해 상담사, 정신과의사 등이 전혀 없었다며 미흡한 초기대응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아이 얼굴은 목을 졸라서 얼굴에 다 실핏줄이 터진 상태였다”면서 “(처음 피해아동이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을때) 외과선생님께서 수술을 마치고 바로 내려갔더니 아이가 복막염 환자인 줄 알고 진료를 하실 정도였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치료 당시) 정신과 의사선생님이 전혀 개입조차 되지 않았다”면서 “초기 대응에 심각한 구멍이 났고 그 결과 아이는 아픈 상태로 진료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그래서 그럴 때(피해아동이 첫 치료를 받을 당시) 당연히 옆에 경찰이 있든 아니면 해바라기 센터처럼 아동피해를 지원하는 상담사나 전문가들이 서 있어야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찰은 (피해아동과) 동행을 했는데 제가 볼 때는 이미 병원에 들어가고 하면 수사하기 바쁘다”면서 “해바라기 센터가 왜 필요하냐면, 이 단계(초기치료단계)에서 상담사나 이런 분들이 함께 했어야 한다. 지금부터.”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피해아동에 대한 치료가 일단 급하게는 2~4주 정도 끝나면 집으로 가야 되는데 그 집에 다시 가면 안 될 것 같다”면서 “이번 경우는 집을 옮기는데 다행히 복지비를 지원해 주겠다고 하지만, 정부가 주는 복지금은 절차가 복잡하고 빨리 지원이 안 되면 애들은 그 집에 살다가 좀 있다가 옮겨주는 상황을 제가 많이 경험을 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그는 “이 타이밍(집을 빨리 옮겨서 상처를 덜 받게 하는 시기)이 중요한데 지금 이렇게 구체적으로 탄력적으로 빨리 빨리 지원될 수 있는 복지기금이 제가 경험한 바로는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응급지원기금을 마련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조두순 사건 피해자의 주치의였던 신 의원은 “저는 조두순 사건 때 그걸(아이가 상처를 계속 받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국회에 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긴급히 마련할 수 있는 것을 정말 우리 당에서도 열심히 노력하고 해서 마련할 걸로, 지금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