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품도 기능성 갖춰야 성공’

  • 등록 2012.09.28 12:33:36
크게보기

까다로운 한국 엄마들‥국내 유아용품시장 ‘친환경+기능성’ 특히 강조

[더타임스 김우진 기자]친환경 상품들이 국내외적으로 범람하고 있지만, 실제 소비자들은 친환경성보다는 품질을 우선시 한다. 삼성경제연구소(2012) SERI.org 회원 753명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소비자들의 에코상품에 대한 인식도 조사(2012.4.30~5.2)’결과 친환경성이 품질만큼 중요하지 않다 54%인 반면 친환경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5%에 불과했다.

 

지난 8월 발표된 삼성경제연구원의 '성공하는 에코상품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제품의 딜레마'생산비용의 증가∙친환경 제품의 범람으로 차별화 어려움∙시장확대 저조(환경인식 미비)' 등이다. 보고서는 친환경 상품의 성공전략을 친환경적 특성을 통한 소비자 이득’, ‘좋은 품질에 친환경적 요소가 ‘+@’로 부각등으로 말한다.

 

친환경 제품 넘쳐나는 유아용품업계

 

국내에서 친환경이 가장 강조되는 곳은 유아용품이나 먹거리 시장이다. 특히 아이들이 먹고 입는 것에 까다로운 한국엄마들은 분유나 기저귀 등 아기의 신체에 가장 가까운 제품들에 민감하다. 최근에는 친환경 분유의 세슘 검출 소식에 아이엄마들이 거리로 나오기도 했다. 업체는 자연방사능이라 무해하다고 해명했지만, 그만큼 친환경 제품의 민감성을 잘 보여주는 현상이다.

 

친환경에 민감한 아이 엄마들도 기능성을 쉽게 포기하진 않는다. 국내 기저귀 중 친환경타이틀을 붙이고 있는 제품은 많지만 실제로 기능성을 강조한 하기스 프리미엄이나 군기저귀가 선호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하기스는 전체 시장 매출의 50%정도, 군기저귀는 10% 정도를 차지한다.

 

친환경과 기능성이 모두 중요한 소비 포인트로 여겨지는 시장의 성격을 반영해 하기스는 네이처메이드라는 기저귀를 선보이고 있다. 이 밖에도 최근 국내에 선보이는 수입 기저귀 중 친환경과 기능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들이 있다. 대부분 북유럽 제품으로 펄프산업이 유명한 스칸디나비아 지역 부근에서 생산되는 기저귀들이다.

 

올해 8월초 국내 공식 런칭한 스웨덴 친환경 기저귀 네띠(Naty)는 스칸디나비아 펄프를 사용한 대표적인 제품이다. 무염소 표백에 아이 피부에 닿는 부분과 기저귀 겉감이 티슈재질이며 겉감에 새겨진 무늬도 콩잉크를 사용했다. 아이의 용변을 흡수하는 순간흡수확산층과 바깥으로의 샘을 막아주는 방수포는 모두 100% 옥수수의 성분으로 만들어졌다. 네띠의 국내 공식 수입업체 제이앤하이 조경완 대표는 네띠처럼 화학 성분을 최소화하면서 흡수량과 흡수속도, 역류방지 등 기능성에 중점을 둔 제품들이 유럽에서도 인기다고 말했다.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 생산방식도 주목

 

친환경적 제품공정은 소비자에게 비용부담을 안기거나 제작 단계에서 제품 본연의 기능성을 훼손한다는 인식이 있다. 이주현(일산, 29)씨는 아무래도 친환경 제품은 공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그 부담은 소비자에게 온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료를 적게 쓰거나 오염물질을 줄이는 등 친환경적인 생산방식을 사용하면서도 기능은 유지하는 공법이 업계에서 나타나고 있다. 나이키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원료를 제거하는 '컨시더드 디자인' 공법을 사용한다. 원료를 적게쓰고 재활용이 용이한데, 2011년부터 모든 신발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아디다스는 드라이다이라는 공법을 사용한다. 물 대신 이산화탄소로 염색하는 티셔츠로, 티셔츠 1장당 물 25리터를 절약한다. 또한 공정에 사용되는 에너지와 화학약품 사용량을 50%감축하고 있다. 리바이스도 워터리스라는 청바지 라인을 선보이고 있는데,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물을 최대 96% 절감한 공법을 적용한 제품이다.


김우진 기자 md6778@nate.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