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종교의 뿌리, 전주시 종교관광 성지 만든다

  • 등록 2013.07.29 10:41:45
크게보기

치명자산 성지만 매년 100만 명, 한국 대표 성지순례 도시 기대

[더타임스 송은섭 기자] 순교의 핏자국이 선연하게 피어나는 전주, 구약성서 최초 번역지 전주가 종교관광의 새로운 성지로 조성된다.

 

전주시는 25일 송하진 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토론회의를 열고 천주교, 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도교, 유교 등 6대 종교의 역사·문화·정신·교육·의료·선교의 뿌리이자 종착역인 전주를 종교관광의 거점도시로 육성하기로 했다.

 

한국 종교의 중심지, 아름다운 순례길의 출발점이자 도착지인 전주가 종교관광의 메카로, 종교를 통한 순례, 명상, 치유, 교육의 메카로 전주의 이미지를 새롭게 창출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주는 치명자산 성지, 전동성당(천주교)와 서문교회, 예수병원, 신흥학교(기독교), 남고사, 동고사, 정혜사(불교), 원불교 교동교당(원불교), 동학혁명기념관, 완산공원(천도교) 전주향교(유교) 등 전주한옥마을과 도심권 중심부에 위치한 6대 종교의 종교자원과 역사를 바탕으로 종교관광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이를 본격 추진키로 했다.

 

전주시는 제5차 전북권 관광개발계획에 문화관광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전략사업으로 들어 있는 치명자산 종교명소화사업을 위해 치명자산 일대에 2014년부터 17년까지 총사업비 380억원을 들여 세계평화의 전당을 건립키로 했다.

 

순례객을 위한 치유와 인성 등 복합기념교육시설과 연구회의시설, 문화생활체험시설 등이 담긴 세계평화의 전당 건립사업에는 평화랜드도 조성돼 시복시성에 맞춰 예상되고 있는 교황의 전주 방문을 준비한다.

 

천주교는 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 호남의 사도 유항검과 세계 유일의 동정부부 유중철과 이순이 등 시복시성 124위 가운데 24위의 순교자가 나올 정도로 전주는 천주교 순교 1번지이다.

 

특히 순교자 터에 지어진 전동성당과 한국의 몽마르뜨로 불리는 치명자산은 아름다운 순례길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제적 성지로, 매년 100만 명 정도의 순례객이 방문할 정도로 성지화 되어 있다.

 

호남권 기독교 선교역사의 시발점이자 호남 최초의 교회인 전주 서문교회(1893년)를 중심으로, 호남지역 최초로 세워진 서양식 병원인 예수병원(1898년 설립), 그리고 1919년 3.1만세 운동을 주도한 신흥학교는 기독교 120년 역사의 성지이자 교육과 의료, 선교의 중심지였다.

 

더욱이 1910년 선교사 레이놀즈 등에 의해 구약성서가 전주에서 최초로 번역된 역사적 사실도 담겨져 있는데다, 당시 외국인 선교사의 희생정신이 담긴 추모 묘역도 자리하고 있어 기독교 근대문화유산의 순례성지로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사업비 125억 원을 들여 예수병원 맞은편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근대 선교역사기념관을 건립하기로 하고 국가예산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동학혁명의 역사적 자료가 담긴 천도교 동학혁명기념관이 노후화됨에 따라 1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주변 한옥마을과 조화되도록 전통한옥 양식으로 리모델링해 새롭게 선보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주는 유교의 정신과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전주향교와 선비길, 조선시대 호국불교의 기착점으로 알려진 남고사와 남고산성, 한옥마을에 자리한 원불교 교동교당 등과 더불어 순례길 코스를 정비하고, 종교별 특성에 맞는 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해 종교자원별 정체성 확립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대해 송하진 시장은“전주는 한국 6대 종교가 서로 소통하며 한국 천주교 순교1번지로, 구약성서가 최초 번역된 역사적 도시로 집약되어 있는 한국 종교의 뿌리와 같은 도시”라고 설명한 뒤“종교의 역사와 정신문화를 통해 전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타지역에서 보고 배울 수 있는 한국 대표 종교성지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많다. 지난해 있었던 전주 순례대회에서 선교활동으로 유명하다던 전주시 소재 A교회는 화합이라는 주제를 인식 못하고 그들 끼리의 문화만 보여주고, 심지어 타 교단에 대해서 험한 말을 하기도 했다. 기존처럼 각 종교들의 베타성으로 서루 다투게 된다면 종교도시로서의 희망은 하나의 망상일 뿐 실체는 없게 된다. 전주시가 서로 화합하고 소통하는 종교도시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송은섭 기자 es7@daum.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