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출범 위한 첫 조직개편 단행 ( 대구시 )

  • 등록 2022.07.04 21:56:30
크게보기

통합신공항건설 등 미래 50년 사업추진과 공직혁신 등 시정개혁 뒷받침

유사 중복조직을 통‧폐합하여 작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재설계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시는 민선8기 출범을 위한 첫 조직개편을 오는 713일 개원 예정된 제294회 임시회에서대구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대한 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7월 중 조속히 시행 예정이다.

 

이번 개편은 지난 627대구광역시장직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조직개편안에 대한 세부 실행 작업을 최종 완료한 것으로, 대국대과(大局大課)’ 원칙에 입각하여 유사중복 조직폐합하고, 부서 간 칸막이제거하여 상호협력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작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재편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주요 내용은 시정혁신단 시장 직속기관과 혁신성장실, 미래ICT 감사위원회 등을 신설하고, 경제국-일자리투자국 시민안전실-시민건강국통합, 건설본부, 시설안전관리사업소 등 14개 사업소를 대상으로 하는 폐합 등이 주요 골자이다.


개편 결과, 대구시 조직은 본청 2123본부·90과에서 3본부 4과가 줄어든 3·9·2본부·86, 사업소 19개 사업소에서 11 사업소가 대폭 감소하여 8개 사업소 체제를 갖추게 된다. 각 부서의 하부조직과 인력은 신설 부서에 한해 필수 인력 위주로 보강하였고, 부서 간 기능조정에 따른 인력은 상호 이체를 원칙으로 하여, 총 정원 6,480에서 2명 감소 6,478으로 조정되었다.


기구변동 내역 : 3·본부 411사업소

 

<·국단위 3>

(신설 +2) 혁신성장실, 미래ICT

(폐지3) 혁신성장국,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 미래공간개발본부

(통합2) 경제국+일자리투자국경제국, 시민안전실+시민건강국시민안전실

 

<과단위 4>

(신설 +6) 미래50년추진과, 부대이전과, 원스톱기업투자센터, 광역협력담당관, AI블록체인과, 벤처혁신과

(폐지8) 감사관, 경제산업분석담당관, 지역혁신담당관, 세계가스총회지원단, 사회적경제과,도시공간 정책관, 광역행정기획과, 광역행정지원과

(통합2) 홍보브랜드담당관+대변인공보담당관, 도시재생과+도시정비과도시정비과

 

<사업소 11>

(통합11) 건설본부+도시철도건설본부도시건설본부, 문화예술회관+콘서트하우스문화예술회관,

시설안전관리사업소+체육시설관리사무소+환경자원사업소+도시공원관리사무소+팔공산자연공원 관리사무소+수목원관리사무소+달성습지관리사무소+종합복지회관+여성회관+동부여성문화회관 도시관리본부

 

정원변동 내역 : 6,4806,478(2)

 

주요 개편내용 본청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미래 50년 번영을 설계할 시장 직속기관 신설

 

­ 시정혁신단, 정책총괄단을 신설하여 공직사회 혁신과 미래 50 먹거리 발굴을 책임지고,

 

­ 재정점검단을 설치하여 낭비성 예산을 줄여 재정건전성을 강화한다.

 

­ 군사시설이전단, 금호강르네상스추진단을 설치하여 군부대이전터 개발과 금호강 100리 물길 조성 등 핵심사업을 총괄하고,

 

­ 정무조정실공보실을 신설하여 의회 및 대시민 소통 기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 경제산업분야 조직 재편 및 미래산업 기능 강화

 

­ 일자리투자국을 폐지하여 경제국으로 통합 후 경제일자리 분야의 업무연계와 조직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정책관, 일자리노동정책과, 민생경제과, 산단진흥과, 창업진흥과, 섬유패션과, 국제통상과, 농산유통과를 배치한다.

 

­ 혁신성장국(3)혁신성장실(23)로 확대 보강하여 플라잉카,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로봇, 의료 헬스케어, 수소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중심의 조직체계로 재편하고, 혁신성장정책관, 투자유치과, 에너지산업과, 미래모빌리티과, 의료산업과, 기계로봇과, 신기술심사과를 편제하는 한편,

 

­ 원스톱기업투자센터 경제부시장 직속으로 신설하여 기업의 애로 사항 해소, 기업현장 민원 관리, 규제혁신 등을 통해 투자기업의 성장을 밀착 지원한다.

 

셋째, 디지털 선도도시 도약을 위한 ABB 행정 및 산업 육성

 

­ 미래ICT 신설하여 AI, Bigdata, Blockchain 산업 집중 육성, 첨단기술 중심의 유망 기업유치 및 AI-블록체인 혁신을 추진한다.

 

­ 이를 위해 기존 스마트시티과데이터통계담당관 디지털정책 총괄 기능 강화 및 데이터산업 육성 추진을 위해 미래ICT으로 편제하고 각각 디지털혁신전략과, 빅데이터과로 명칭을 변경한다.

 

­ 또한, AI블록체인과를 신설하여 AI, 블록체인 기반의 행정서비스산업 업무를 담당하고, 벤처혁신과를 설치하여 ICT기업 맞춤형 지원 및 애로 해소를 통한 기업 성장지원을 유도할 계획이다.

 

넷째, 미래형 광역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공간 개발 기능 재편

 

­ 통합신공항건설본부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 및 후적지 개발을 위해 공항정책과의 특별법 제개정 및 관련 정책협의 기능을 강화하고, 기존 이전사업과신공항건설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공항산단 조성, 에어시티 건설 등의 기능을 보강한다.

 

­ 기존 미래공간개발본부는 도시공간개발의 중복된 기능을 통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폐지하고 업무 연관성이 높은 부서에 재배치한다.

 

이에 따라, 도시공간정책관은 폐지 후 도시주택국′ ′도시계획과 이관하여 도시공간 개발계획을 담당하고,

 

신청사건립과행정국으로 이관 후 신청사건립을 전담한다.

 

서대구역세권개발과도시주택국으로 이관하여, 통합신공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망 구축 등 철도개발과 도시개발을 연계하여 추진하고,

 

수변공간개발과환경수자원국으로 이관하여 금호강르네상스 업무를 전담한다.

 

다섯째, 맑은 물 공급과 물 산업 육성의 효율적 추진

 

­녹색환경국환경수자원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물 환경 정책과 취수원 확보를 중점 추진하고, 기존 취수원다변화추진단맑은물정책과로 확대보강하여 맑은 물 식수 확보 및 물 환경과 물 산업의 일원화를 전담한다.

 

여섯째,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및 시민 건강증진

 

­시민건강국시민안전실 통합하여 감염병 대응과 사회재난 업무를 연계시켜 대시민 안전체계를 일원화하고, 공공보건의료 컨트롤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의료정책과(4)보건의료정책관(34)으로 확대 보강한다.

 

일곱째, 감사 기능 강화를 위한 감사위원회 설치

 

­감사 기능 강화를 위해 기존 감사관을 독립된 합의제행정기관인

감사위원회로 변경하고 위원장을 개방형(34)으로 임명하는 등 자체 감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대폭 강화한다.

 

여덟째,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 폐지

 

­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추진하는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은 폐지 후 광역협력담당관을 신설하여 기획조정실 배치하고 초광역 협력사업 및 타 시도 교류 협력사업 등을 추진한다.

 

아홉째, 기능 유사성과 연계성을 고려한 기구 통합재배치

 

­ 대변인홍보브랜드담당관 공보담당관으로 통합하여 보도-홍보의 일원화된 체계를 구축한다.

 

­ 도시재생과도시정비과로 통폐합하여 개발정책이 공공주도에서 민간주도로 변화되는 추세를 반영한다.

 

­ 일자리투자국청년정책과를 청년·여성·청소년·아동·교육정책의원활한 연계를 위해 여성청소년교육국으로 이관하고, 여성청소년교육국청년여성교육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사업소 개편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직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업소 통폐합

 

­ 도시철도건설본부는 교통공사 설립 전까지 유사기능을 수행하는 건설본부와 통합하여 도시건설본부로 재편한다.

 

­ 도심 시설물, 공원녹지 관리 및 복지시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10* 사업소를 통합하여 도시관리를 총괄하는 도시관리본부를 신설한다


* 시설안전관리사업소, 체육시설관리사무소, 환경자원사업소, 도시공원관리사무소, 팔공산자연공원 관리사무소, 수목원관리사무소, 성습지관리사무소, 종합복지회관, 여성회관, 동부여성문화회관

 

­ 대구콘서트하우스는 대구 문화예술 전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대구문화예술진흥원설립 전까지 문화예술회관의 하부조직으로 통합 관리한다.

 

이와 함께, 민간전문가의 공직 진출을 확대한다.

 

­ 5급 이상 직위를 대상으로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는 개방형 직위의 범위를 기존 16개에서 7*를 추가하여 23개 직위까지 확대 적용한다.


* 혁신성장실장, 미래ICT국장, 환경수자원국장, 문화콘텐츠과장, AI블록체인과장, 빅데이터과장, 수변공간개발과장

 

­ 이에 따라, 외부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공직에 영입하여 시정 운영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공직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