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재 대표 비서실장은 20일 “이제 여당이므로 다양한 회의체가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에 따라 매주 한 차례 최고·중진 연석회의를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중진의 경우 4선급 이상 국회의원이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직을 맡은 경우를 제외하면, 범 친이명박계에서는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6선)을 필두로 남경필·안상수·이윤성·정의화·황우여 의원이 자동으로 포함된다. 친박근혜계에서는 박근혜 전 대표와 김영선 의원, 친박 복당 조치에 따라 입당한 6선의 홍사덕 의원과 김무성·박종근·이해봉·이경재 의원이 대상이다. 그러나 박 전 대표와 이 전 부의장이 실제 당무에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두 사람이 참여할 경우, ‘연석회의’는 공식 의결기구는 아니면서도 명실상부한 ‘최고기구’가 될 공산이 크다. 박 전 대표가 참석하게 되면 아무래도 관심의 초점이 쏠리게 될 거고, 회의의 토론이 자연스럽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다. 이명박 정부나 친이 중심의 여당 지도부에 대해 “지켜보는 게 돕는 것”이란 박 전 대표 입장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 전 부의장의 경우도 18대 총선 직전 당 공천자 55인의 퇴진 요구 파동 등 실세 논란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앞으로 정치에 개입한다는 오해를 부르는 일을 일절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상 전면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박 전 대표와 이 전 부의장이 불참할 경우, 연석회의는 모양새만 있고 실속은 없는 형식적 회의체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 "중진 의원들이 국회 내 상임위원장을 비롯해 요직을 맡고 원내와 원외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 만큼 중진 의원들의 고견이 필요하다"고 중진·최고위원 연석회의 부활 추진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종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