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광역시는 3일 오후 3시 시청 산격청사 제1대회의실에서 ‘미국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지역 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통상위기 극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미국 정부가 3일 오전부터 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함에 따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구시는 이날 대책회의를 통해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대구시는 미국이 지역 최대 수출국이며, 특히 자동차 부품은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전체 대미 수출액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관세 부과가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봤다.
※ 2024년 대구 대미 수출액 2,078백만 달러 중 자동차 부품은 418백만 달러
이날 회의에서는 ▲대구정책연구원의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 영향 분석 발표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 소개 ▲대구상공회의소의 업계 동향 및 애로사항 보고 ▲KOTRA의 수출기업 지원 체계 설명 등이 이어졌다.
특히 KOTRA는 ‘관세대응119 상담창구’와 ‘해외 무역관 헬프데스크’ 등을 통한 현장 중심의 지원체계 운영을 예고하며, 지역 기업의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대구시는 오는 5월 8일(화)~9일(수) 개최 예정인 2025 원스톱기업지원박람회’에서 국가별·품목별 관세 맞춤형 컨설팅, 해외 OEM 파트너 및 대체공급선 발굴 조사, 수출 지원 설명회 등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책을 제공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차체·의장(20.3%), 엔진 부품(11.6%), 동력전달 부품(9.5%) 등 부품 위주의 자동차산업 구조를 갖추고 있어, 미국의 이번 관세 부과 조치가 완성차 가격경쟁력 약화로 이어지면 중간재 수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는 5월 초부터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를 본격 적용하고, 필요 시 부품 적용 범위를 확대할 방침인 만큼 지역 부품업체의 부담은 한층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미국의 불안정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지역 자동차 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구시는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출 지원 대책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오는 5월 초까지 각 기관별 대응책을 정비하고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를 통해 지역 기업들의 안정적인 수출 판로 확보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