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계자가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정책 원칙에 대해 직접 입을 열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4일 "정치적 사건이 발생한다고 해서 인도적 지원과 남북 교류 등을 다 중단하지는 않겠다는 게 박 대통령이 언급해온 대북 정책의 원칙"이라며 "이번 결핵약 대북 반출 승인은 그런 원칙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대북정책에 있어 이명박 정부와 극명한 차이를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2월 25일 취임사에서 "저는 국민의 생명과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그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은 하루빨리 핵을 내려놓고, 평화와 공동발전의 길로 나오기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 북한의 도발에 강한 어조를 드러낸 것.
또한 박 대통령은 지난 22일 유임된 김관진 국방부장관에게 "북한이 도발수위를 계속 높여가고 있다"며 "국민들이 걱정, 불안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파악해서 안보면이나 국민안전면에서나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이런 강한 어조와 달리 지난 22일 새 정부에서는 민간 대북지원단체의 결핵약 대북 반출을 승인했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북한이 향후 도발하지 않고 국제사회로 나오려는 노력을 한다든지 해서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해 서로 인내하고 협조하는 한 대북지원뿐 아니라 대북교류 부분은 앞으로 확대돼간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더타임스 정치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