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부터 공사를 시작 전남대학교 정문 앞 하수관거정비공사는 광주광역시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총 연장 약150km에 달하는 북구 일원의 공사로 총 공사비 약 1천억 원에 이른다. 인근 상인 김 씨에 따르면 전남대 정문 공사의 경우 인근 상가의 영업 손실을 우려해 당초 2주 정도 공사를 할 예정이었으나 지하 지반과 설계상 문제로 공사 기간이 3개월가량 길어 졌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인근 상가에 막대한 영업 손실과 함께 공사기간 중 소음과 진동으로 수도관 파열, 상가 인테리어 손상, 건물 외벽에 금이 가는 등 많은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공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사전 고지와 충분한 안내가 있어야 함에도 공사 전 안내가 없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와 함께 “시청에 민원을 제기 했음에도 시청에서는 공사 관계자들의 말만 듣고 마치 공사관계자들의 대변인양 피해자들의 피해 사실을 외면해 왔다”고 말하고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하고야 시청 관계자들의 태도가 바뀌고 사실조사에 나서고 있다“며 시청의 안이한 행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또 보상과 관련해“공사업체와 시청 관계자들이 처음에는 공익사업으로 보상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다가 나중에는 보상을 요구한 금액이 너무 커서 어렵다. 이곳을 보상해 주면 다른 곳도 보상해 줘야 하므로 안 된다는 등의 말로 보상을 거절해 왔다”고 전했다. 그는 또 “모 시의원이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한 후 아직까지 별다른 이야기가 없다. 과거 광주시 의원이 공사업체 사장으로 있어 건의가 묵살된 것 같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광주시 관계자는 “공사 관련내용 홍보는 현수막 설치 교통방송들을 통해 했으며 직접적인 대민 홍보는 상가 주인들이 없어 홍보가 안 된 부분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또 보상과 관련해서는 “건설공사들이 공사보험을 들어있어 보상 문제는 차차 논의 될 것이다”고 해명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