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하고 공직후보자추천위(이하 공천위)에 ‘의견’ 형태로 전달했다. 비례대표 의원 공천배제 수도권 지역구는 새누리당의 전통 강세지역으로 분류돼 온 서울 강남 갑ㆍ을, 서초 갑ㆍ을, 송파 갑ㆍ을, 양천갑, 경기 분당 갑ㆍ을 등 총 9곳이다. 비대위는 또한 영남권을 포함한 기타 지역에 있어서는 공천위의 재량에 맡기기로 방침을 세웠다. 따라서 비례대표 의원 공천이 원천 배제되는 지역구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황영철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공천위가 후보자 분포나 지역 여론 등을 감안해 결론을 내리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앞서 비대위는 ‘비례대표 의원들을 강세지역에 공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정한 바 있다. 이번 비대위 결정으로 이미 지역구에 출사표를 던졌거나 준비 중인 비례대표 의원들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현재 비례대표 의원 중 원희목 의원이 강남을, 정옥임 의원이 양천갑 출마선언을 한 상태고 일부 비례대표 의원 역시 새누리당의 강세지역인 대구ㆍ부산 등 영남권 출마 채비를 갖추고 있다. 정옥임 새누리당 의원은 이번 비대위 결정에 대해 “강세지역에 대한 객관적 개념 정립이나 준거없이 일방적으로 결정을 강행했다”며 “여성 비례대표의 유의미한 활용 자체도 좌절시키는 상황"이라고 이의를 제기했다. 이어 비대위는 전체 지역구 중 20%까지 선정하도록 돼 있는 전략공천 지역을 ▲쇄신 공천지역 ▲교두보 확보 공천지역 ▲거점방어 공천지역 ▲대응 공천지역 등으로 분류키로 했다. 황 대변인은 “현재까지 후보자의 선거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을 ‘전략지역’으로 규정했는데, 공천위가 선거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지역에 대해 ‘전략지역’ 개념을 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비대위는 ‘한나라당’을 ‘새누리당’으로, ‘공직후보자심사위원회’를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로 각각 바꾸는 당헌ㆍ당규 개정안을 의결했고, 이번 총선에 한해 ‘책임당원’의 자격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6개월분의 당비를 함께 납부하는 당원’으로 완화키로 결정했다. 또 비대위는 친박계 인사로 잘 알려진 5선의 현경대 전 의원과 재선 출신인 홍문종 전 의원에 대한 재입당 승인안을 의결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지난 2006년 ‘수해 골프’로 제명 조치된 홍문종 전 의원의 재입당에 대해 반대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황 대변인은 “제명됐다가 이번에 다시 입당하는 홍문종 전 의원 등에 대해 ‘국민이 당의 쇄신노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는 문제 제기가 있었으나, 일단 입당을 허가키로 했다”며 “다만 공천심사 과정에서 상당부분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남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