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부터 선거인단 신청을 받기 시작해 28일까지 90만명에 가까운 선거인단이 몰려들었다. 민주당은 마감시한(29일 오후 9시)까지는 100만명 안팎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표면적으로는 대단한 흥행을 이룬 것처럼 보이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이 같은 선거인단 규모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민주당은 인터넷이나 전화, 스마트폰 등을 통해 국민경선 선거인단을 모집해 공천혁명을 이루겠다고 자신하고 있지만 불법 모집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타나면서 그 의미가 퇴색해가고 있다 |
이처럼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등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인단이 1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부정등록 의혹’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 광주 동구에서 불법 선거인단 모집책이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사 도중 투신자살한 사건을 비롯해 전남 장성·완도·나주에서도 대리모집 사실이 드러났고, 광주 북구을, 전북 김제·완주에 이어 수도권인 경기 광명에서도 불법 모집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특히 불법모집 의혹은 ‘공천이 곧 당선’으로 여겨지는 민주당 강세지역인 호남에서 많이 제기되고 있다.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촌지역이 많고 인구분포로도 노인층 비중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수많은 유권자들이 이 같은 복잡한 단계를 거쳐 선거인단으로 등록했다. 병원 진료기록과 택배 명단 등 개인정보를 마구잡이로 수집해 선거인단으로 대리 등록한다는 의혹이 속속 사실로 드러나고 있지만 민주당 한명숙 대표는 29일 “모바일 투표는 검은 돈이 오고가는 구태정치를 청산 할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임에 틀림없다”며 모바일 투표 강행 방침을 고수했다. 그러나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주당은 돈·조직 선거를 뿌리 뽑겠다며 모바일 투표를 시행했지만, 오히려 돈과 조직이 없으면 승리할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엄병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