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 후보 측은 "2003년 당 대표를 같이 한 경험이 있는 등 서로를 잘 알기 때문에 정 후보야말로 여당과 쇠고기 문제를 비롯, 갖가지 난제를 풀어갈 파트너로서 적임자"라며 "화합형 스타일과 오랜 경륜도 두 사람이 공유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자평했다. 정 후보는 박 대표의 서울법대 후배로 2003년 나란히 당 대표를 역임한 인연을 갖고 있다. 두 사람 모두 5선 의원 출신이자 지금은 원외라는 공통점도 있다. 추미애후보는 친이계 핵심인 박 대표의 선출로 청와대와 정부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이 심해질 것이라며 "그만큼 강력한 야당, 선명야당을 이끌 리더십에 대한 당내 요구가 확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추 후보는 박희태 대표 체제에서는 한나라당이 청와대의 거수기로 전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야당은 관리형 대표로는 안된다는 인식을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정세균 후보 측은 박 대표가 이른바 관리형 대표라는 점을 들며 관리형 대표를 넘어서 이명박 대통령까지 직접 상대할 수 있는 리더십의 소유자는 바로 자신이라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한편 정대철후보와 추미애후보는 전당대회 1차 투표를 마친 후 단일화하는데 합의했다. 이들은 전당대회 당일, 1차 투표를 치른 후 많은 표를 받은 쪽이 단일후보로 나서기로 했다. 정세균후보는 정대철·추미애 후보의 단일화 합의에 대해 “선거 승리만을 노린 구태정치”라며 "국민들께 감동주긴 어렵고 선거승리 하기 위해 이합집산하는 정치공학적 움직임에 국민들 박수 안보낸다."고 평가절하했다. (이종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