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가 정상화되어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KBS 후임 사장 청와대 개입논란,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처리, 한승수 국무총리의 쇠고기 국정조사 특위 출석 및 양창수 대법관 후보자 인사 검증 등을 놓고 격돌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이 먼저 선제공격에 나섰다. 민주당은 22일 정정길 대통령실장,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유재천 KBS 이사장과 KBS 후임 사장으로 거론되는 김은구 전 KBS 이사 등이 지난 17일 회동한 것과 관련, KBS 후임 사장 인선에 청와대가 개입한 것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공세에 나섰다. 창조한국당도 검찰의 문국현 대표에 대한 체포영장 청구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이재오 전 의원을 정계에 복귀시키려는 시나리오”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근거 없는 정치 공세”라며 “문 대표의 검찰 수사를 이 전 의원의 복귀와 연결시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발끈했다. 이 전 의원의 복귀 문제는 친박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는 민감한 문제임을 공감하듯 한나라당은 “문 대표의 검찰 수사를 이 전 의원의 복귀와 연결시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표의 체포영장 청구소식이 이 전 의원의 복귀와 맞물려 있고 특히 최근 이대통령의 한반도대운하 추진 조짐과 관련, 해당 건설기업들의 주식이 폭등한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종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