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위협 발생시, 청와대가 지휘한다! 실무는 국정원

  • 등록 2013.07.04 12:00:04
크게보기

사이버위협 수위 높은 경우 '민·관·군 합동대응팀' 구성

[더타임스 미디어뉴스팀] 최근 사이버 위협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미래창조과학부가 4일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미래부, 청와대, 국가정보원, 국방부, 안전행정부 등 16개 관계 부처가 참여해 수립한 것으로, 사이버위협 발생시 청와대가 컨트롤타워, 즉 지휘역할을 하는 내용이다. 실무역할을 국정원이 담당하도록 지휘체계를 수립했다. 미래부와 국방부 등 관련기관은 각각 소관분야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신속하게 부처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동시 상황전파 체계'를 구축하하고, 위협 수위가 높은 경우 '민·관·군 합동대응팀'를 꾸릴 방침이다.

 

또한 기관 간에 스마트 협력을 지원하는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시스템'을 내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대책은 ▲사이버위협 대응체계 즉응성 강화(Prompt) ▲관계기관 스마트 협력체계 구축(Cooperative) ▲사이버공간 보호 대책 견고성 보강(Robust) ▲사이버안보 창조적 기반 조성(Creative) 등 'PCRC 전략'을 강화한다.

 

아울러 대책은 집적정보통신시설(IDC), 의료기관 등이 포함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현재의 209개에서 2017년까지 400개로 늘리고, 국가기반시설과 관련해 내부망과 인터넷망을 분리·운영해 안전성을 높일 방침이다.

 

주요 민간기업에 대해서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대상을 500개로 확대(현재 150개)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안취약점 점검과 교육지원을 할 계획이다.

 

미디어뉴스팀 기자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