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맑음동두천 14.2℃
  • 흐림강릉 14.2℃
  • 맑음서울 16.9℃
  • 맑음대전 14.7℃
  • 맑음대구 15.8℃
  • 박무울산 15.2℃
  • 흐림광주 15.7℃
  • 구름많음부산 17.6℃
  • 구름많음고창 14.1℃
  • 구름많음제주 17.8℃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2.3℃
  • 맑음금산 11.9℃
  • 구름많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4.3℃
  • 구름많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교육

“콘택트렌즈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사용이 늘고 있는 콘택트렌즈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높이고자 콘택트렌즈의 재질, 제조방법 등 소비자들의 궁금해 하는 다양한 정보를 소개한다고 밝혔다.

콘택트렌즈는 대부분 각막(검은 눈동자)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굴절이상(근시, 원시, 난시)을 교정하여 효과적인 시력을 얻기 위해 각막에 부착하는 렌즈를 말하는데, 재질에 따라 산소투과율이 좋은 비친수성 재질의 하드콘택트렌즈와 착용감이 좋은 친수성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구분된다.

※ 친수성 : 물과 친화력이 있는 성질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주성분은 HEMA (2-Hydroxyethyl methacrlyate) 또는 실리콘계열이 주로 사용되며, 하드콘택트렌즈의 주성분은 아크릴계열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조사마다 다르나 일반적으로 액상의 재료를 중합하여 고분자로 합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분자중합체를 절삭연마(cutting), 원심회전주조(spin casting), 주형주조(moulding)법 등을 통하여 콘택트렌즈의 형상을 만든다.

절삭연마법은 렌즈 앞뒷면에 다양한 곡률을 줄 수 있어 특수 광학적 목적을 위한 디자인을 고안할 수 있으나,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 절삭연마법 : 고체 상의 렌즈 재료를 절삭 가공 후 연마하여 표면처리

원심회전주조법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단가가 저렴하나 다양한 디자인 렌즈 제작은 어렵다. 반면 주형주조법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렌즈 제작이 가능하다.

※ 원심회전주조법 : 틀에 혼합한 재료를 주입 후 회전시켜 렌즈 모양이 되게 한 후 자외선으로 광중합

※ 주형주조법 : 틀에 혼합한 재료를 주입 후 다른 틀로 눌러서 렌즈를 찍어냄

식약청은 이번에 콘택트렌즈 관련 정보를 소개하며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콘택트렌즈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구매하거나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품목허가번호 등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임을 확인하고, 다른 사람이 착용했던 렌즈를 재사용하는 등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안질환 등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포토





보건의 날(4월7일)에 허경영 국가혁명배당금당 대표,‘코로나는 인간의 욕망에 대한 하늘의 경고’라며
허경영 국가혁명배당금당 대표는 “총선 D-8일인 오늘(4월7일)이 보건의 날인데 코로나19로 정부 기념행사가 연기 된 것”에 유감을 표하고 “오히려 ‘1주일을 보건의 날 기념 건강주간’으로 정해 대대적인 보건 관련 행사를 벌여 코로나로 인한 국민의 보건의식에 경각심을 일으켜야 한다”며 “이 기회에 전 국민이 손 씻기 등 깨끗한 위생생활을 습관화하고 환경을 파괴하고 오염 시키는 행위들을 반성하고 불편하더라도 친환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들과 인터뷰 하는 허경영 대표> 허대표는 “코로나는 인간의 욕망으로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인간들에 대한 하늘의 경고”라고 했다. 허대표는 코로나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즉시 유튜브 공개 강연이나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는 환경을 파괴하는 인간들에 대한 경고 메시지”라고 수시로 주장했다. 그리고 자신이 제안한 ‘코로나 긴급생계지원금 18세 이상 국민들에게 1억원씩 지급’하는 공약이 법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과반수 151석 이상을 국가혁명배당금당에 몰아 달라고 했다. <허대표의 기자회견을 열심히 경청하는 국가혁명배당금당의 당원들> 김동주 국가혁명배당금당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가 인간의 끝임 없는

지금이라도 외국인 입국을 차단하고 대한민국 국민들과 의료진을 보호하라.이은혜 (순천향대 의과대학 교수)
대한민국의 의료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국민들이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금이라도 외국인 입국을 차단하라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방역관리의 기본 원칙은 ‘해외 유입 차단’이다. 그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대한의사협회의 7차례 권고를 무시한 채 소위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중국발 입국을 차단하지 않았다. 그 결과 대구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였고 이제는 거꾸로 중국의 33개 성(省)과 시(市), 그리고 18개 자치구에서 각기 다른 기준으로 한국인 입국 시 격리 조치를 하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를 선두로 유럽 전역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애초에 중국발 입국을 막지 않았던 문재인 정부는 이제 와서 유럽발 입국을 차단할 명분이 없다. 궁여지책으로 22일 0시부터 유럽발 입국자에 대한 ‘특별입국절차’로서 코로나바이러스-19 검사를 의무화했다. 시행한 첫날인 22일 입국한 1,442명 중에 무려 152명이 의심 증상을 보였고, 23일 신규 확진자의 21.9%가 유럽 등에서 입국한 ‘사람’들이며, 이는 전보다 4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박능후 장관 말대로 문 열어놓고 모기 잡겠다는 것인데 온 국민이 모기에 왕창 뜯겨서 죽어 나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