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잘못된 판단으로 깊은 수렁으로 계속 빨려 들어가고 있다.부자 아빠를 둔 50%의 아이들에게는 당분간 급식비를 걷어야한다며 금시초문의 투표까지 걸고, 게다가 간신히 얻은 시장직마저 헌신짝 버리듯 당과 상의도 없이 도박하듯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인하고 있다. 그야말로 물귀신 작전이 따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3.3% 이상의 투표참여율을 달성하기에는 누가 보더라도 힘들다고 본다. 작년 6.2 지방 선거 때 오시장이 얻은 표는 208만 6127표로 25.4%에 머물고 말았다.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는 279만 표를 넘어야 33.3%를 채울 수 있다. 유권자 수는 정확히 279만5760명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예측은 휴일도 아닌 평일에 이루어지는데다 관심도 적기에 이 수치를 채우기 힘들다 보고 있다. 아니, 이승만 시절 사사오입으로 억지 부리다 정권마저 무너져 내린 수치에도 근접하기 힘들다는 얘기다. 사정이 이러한데 여당의 홍준표 대표와 나경원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친이계에서 물귀신처럼 물고 늘어지는 명분 약한 선거에 깊숙이 관여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출구전략마저 없이 홍 대표는 33.3%를 넘지 못하면 민주당 책임이라는 궤변으로 미리 결과를 예측한
요즘 무상급식 문제로 오는 24일 투표가 예정된 가운데 말들이 많다.청와대나 나경원 의원은 투표에 적극 참여하라는 간접 의사표시나 트위터 글로 인하여 야당으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거나 심지어 선거법 위반으로까지 비화될 전망이다.왜 이런 문제에 여당이 수렁에 깊숙이 빠져야하는지 한나라당 지도부는 모르는 것 같다. 작금 서민들 삶은 부자감세 및 간접세 증가 등으로 죽을 맛이다. 당장 작년보다 배 가까이 오른 야채 등의 농산물 값은 차치하고라도 휘발유 가격에서도 이미 민심은 폭발 직전이다. 정부의 정책은 전세가격 정책에서 보듯 항상 후수를 두거나 돈 많은 사람 집 더 사라고 하는지, 다수의 세입자 입장과는 거리가 멀다.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관한 정책도 공생이니 공정사회니 뭐니 말은 요란해도 실제로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국민은 도처에서 아우성이다.특히 22조원도 넘는 국가 예산을 4대강 사업에 왜 올인하는지? 과연 얻은 것은 무엇인지 국민들은 묻고 있다. 수 십 만개의 일자리 창출? 홍수 예방? 오히려 대다수 국민은 환경파괴를 염려하며 지금이라도 당장 중지하기를 바란다.작금 밑바닥 민심은 그야말로 폭발 직전인데도 여당은 이를 모르는 것 같다. 가히 내년 수도권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