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鄭澈)은 1561년(명종 16년) 진사시에 장원급제하였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지평(持平)을 거쳐 함경도 암행어사를 지낸 뒤 1567년(명종 32년) 이이와 함께 사가독서를 하였다.1568년(선조 1년) 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다시 지평이 되었다. 1578년 장악원정으로 기용되고, 사간·직제학을 거쳐 승지에 올랐다. 진도 군수(珍島郡守) 이수(李銖)의 뇌물 사건으로 동인의 공격을 받아 사직하였다.1580년(선조 13) 강원도 관찰사로 등용된 후 강원도·전라도·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면서 작품을 썼다. 관동별곡은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면서 산수(山水)를 노래하고 또한 고사(故事)·풍속까지 삽입한 것이며, 훈민가(訓民歌) 16수는 백성을 교화(敎化)할 때 포고문이나 유시문을 대신하여 시조(時調)의 형식을 빌려 지은 것이다. 1583년(선조 16) 예조 참판이 되고, 이어 형조와 예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1584년 대사헌이 되었으나 동인의 논척(論斥)으로 다음해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가 4년 동안 가사 생활에 들어갔다.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 등 수많은 가사와 단가를 지었다.1589년(선조 22년) 우
류성룡(柳成龍)은 이황의 문하로 들어가 학문을 닦았으며 1564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1566년 별시 문과를 거쳐 한원(翰苑)에 들어갔다가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 검열과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였고, 1569년(선조 2)에는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조 정랑이 되어 이준경(李浚慶)의 관직을 삭탈함이 옳지 않음을 주장하였으며, 인성(仁聖)대비가 죽었을 때 류성룡은 적손(嫡孫)의 예를 따라 3년설이 타당함을 주장하여 그대로 시행되었다.응교(應敎) 등을 거쳐 경연 검토관(經筵 檢討官), 직제학(直提學), 부제학(副提學), 도승지, 대사헌, 대제학 등의 요직을 맡았다.1590년 예조 판서,이조 판서,우의정에 승진시키고 광국 공신(光國功臣) 3등으로 풍원 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하였다.이듬해 좌의정과 이조판서를 겸하다가, 건저 문제로 정철을 비롯한 서인의 처벌이 논의될 때 온건파인 동인에 속하여 정철을 처벌하는 데는 찬성하지만 서인 전체를 처벌하는 것에는 반대하였다. 좌의정에 재직 중 일본이 그들의 군사를 명나라로 들여보내겠다는 국서를 보냈는데 이 사실을 명나라에 보고하여 조선에 대한 의심을 풀게 하였다.1591년 선조가 명
이항복(李恒福)은 1580년(선조 13년) 문과에 급제하여 1581년 검열(檢閱)이 되었다. 과거 급제 이듬해에는 한림학사가 되고 1583년에는 이이의 추천으로 친구인 이덕형과 함께 호당에 들어가 사가독서를 했다. 또 홍문관인 옥당의 벼슬아치로 천거받았다.호조참의가 되어 전곡(錢穀)의 출납에 밝았으므로 판서 윤두수(尹斗壽)에게 칭찬을 받았으며, 이후 1589년 예조정랑으로서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처리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이 되고 오성군(鰲城君)에 봉해졌다. 붕당 정치에 깊이 개입하지 않으려고 슬기와 인내로써 항상 조심하였으며, 재치와 익살이 뛰어났다. 건저(建儲) 사건이 일어나 정철의 죄안을 처리하는 데 태만하였다고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승지로서 선조를 모시고 의주로 피난가는 도중 이조참판에 올랐다. 두 왕자들을 모시고 평양으로 가서 형조판서에 특진하고 병조판서로 옮겨 왜군 격퇴의 지휘권을 얻게 되었다. 명나라와 연락을 취하기 위해서 영변과 정주를 거쳐 의주에 이르렀다. 이덕형(李德馨)과 교대로 병조판서를 맡으며 명나라에게 원군을 요청하는 동시에 왕실 근위대 정비에 전력을 다하고 올바른 정치로 선조를 보필하였다.
이덕형(李德馨)은 1580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율곡 이이의 추천으로 호당(湖堂)에 들어가 사가독서를 한 뒤 옥당인 홍문관의 직책에 배치되어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박사(博士)가 되고 수찬(修撰)과 교리(校理),이조정랑 등을 역임하고 1590년 당상관에 올라 동부승지, 대사간, 부제학, 대사성, 이조참의를 지냈다. 1591년 31세에 예조참판(禮曹參判)으로서 조선시대 최연소의 나이로 대제학(大提學)이 되었다. 1592년 대사헌의 직책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덕형은 좌의정으로 있던 류성룡, 도승지 이항복과 함께 전략을 세우고 지혜를 짜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로서 일본 사신과 화의 교섭을 했으나 결렬되었다. 그 후 청원사(請援使)가 되어 명나라로 가서 원군을 요청하여 성공하였다. 임진왜란 중 접반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공조판서, 우참찬, 우찬성을 지냈으며 이항복과 교대로 병조판서를 역임하며 군사정책을 수행하였다.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한성 방어를 강화하였으며, 1598년 4월 38세의 젊은 나이에 의정부 우의정으로 승진하였고 이어 좌의정, 1602년 3월 영의정이 되었다. 1601
하륜(河崙)은 1396년 예문춘추관학사로 임명되었는데 명나라와의 표전시비(表箋是非)로 정도전과 정면으로 대립했다. 조선에서 명에 보낸 외교문서에 명나라를 모욕하는 언사가 있다고 하여 문서 작성자인 정도전을 압송하라는 명나라측의 강경한 요구에 하륜은 정도전을 보낼 것을 주장했으며 1396년 계품사(計稟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문제를 해결하고 돌아왔다. 이에 정도전의 미움을 사게 되고 이방원(李芳遠)과 급속히 가까워져 1398년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적극 지지했다. 그 공으로 정종이 즉위한 후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으로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졌다. 그해 대대적인 관직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정당문학이 되었으며, 이방원의 세자책봉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태종의 즉위 직전에는 정승 반열에 올라 정국을 주도해가기 시작했다. 1400년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로서 관제개편을 주도하고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우정승 등의 요직을 거쳤다. 그해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영삼사사(領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고 관제를 개혁했으며, 영사평부사 겸 판호조사(領司評府事兼判戶曹事)로서 저화(楮貨)를 유통시키게 했다. 1402년(태
복합쇼핑몰 경방 타임스퀘어(대표 김담)는 5일 제일모직의 글로벌 패스트패션(SPA) 브랜드인 ‘에잇세컨즈’ 4호점을 서울 서남권 최대 규모인 약1,200㎡(360평)규모로 오픈했다. 이번 오픈을 맞아 5일부터 특별 할인, 사은품 증정, 경품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 될 예정이다.
프랑스 패션 브랜드 루이까또즈(대표 전용준, www.louisquatorze.com)는 본격적인 봄 시즌 4월을 맞아 온라인 직영몰에서 다채로운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루이까또즈는 이달 30일까지 온라인 직영몰에서 20만원 이상의 핸드백 또는 가방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에게 이너파우치를 증정하는 ‘백 캠페인(Bag Campaign)’을 진행한다. 루이까또즈 이너파우치는 다양한 아이템을 소지한 여성들에게 유용한 가방정리 필수품으로, 로고가 찍힌 안감에 천연 소가죽 라인으로 마감 처리해 고급스럽다. 루이까또즈는 또 특별 사은선물로 이어캡 3종 세트를 증정한다. 오는 13일부터 30일까지 1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제공하는 이어캡은 휴대폰의 이어폰 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유용한 아이템이다. 나만의 톡톡 튀는 개성을 연출하는 패션 액세서리로도 손색이 없다.또한 루이까또즈는 매월 14일을 ‘까또즈 데이(Quatorze Day)’로 지정, 이를 기념하는 ‘까또즈 캠페인’을 진행한다. 4월에는 신상품 이름을 맞추면 루이까또즈 보너스 포인트를 지급한다. 참여 횟수에 제한이 없으며 정답이 누적될수록 보너스 포인트를 계속 받을 수 있다. 이 밖에 온라인
일상생활 중 허리가 아파서 불편함이 있다면 척추질환을 생각해봐야 한다. 하지만 허리에 통증이 나타난다고 해서 단순히 디스크라 자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유는 디스크와 비슷한 질환인 척추관협착증 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봄이 찾아오면서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늘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 결과, 2010년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85만 여명으로, 4년 전에 비해 무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또 비수술척추관절치료전문병원 세연통증클리닉이 3월 중 방문한 허리 통증 환자를 조사한 결과38%가 척추관 협착증으로 내 원 한 것으로 나타났다.봄 계절부터 늘어나는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통증은 있지만, 디스크 탈출이 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또 척추관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선천적으로 나타날 수 도 있지만 대부분 잘못된 자세와 척추 뼈의 퇴행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점차 나이가 들면 척추관의 공간이 좁아지는데, 이 사이를 지나는 신경이 압박을 받게 돼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주요 증상으로는 허리는 물론 다리고 저리고 터질 듯 느껴지고, 오래 서있거나 걸을 경우 무리가 가 쉬다가 걷고 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허리를 펴게 되면 아프고 구부리면 척추관이
배극렴(裵克廉)은 1376년 진주도원수로서 진주에 침략한 왜적을 반성현(班城縣)에서 물리쳤고, 이듬해 경상도도순문사로서 왜구를 물리치면서 합포에 성을 쌓았으며, 1378년에는 경상도원수가 되어 왜구를 대파했다. 이듬해 왜적의 기병 700명과 보병 2,000여 명이 진주에 침략했는데, 양백연(梁伯淵)·우인렬(禹仁烈)·한방언(韓邦彦)과 더불어 크게 이겼다. 울주·사주·청도 등에서 왜적을 막는 데 큰 공을 세웠고 1380년 밀직부사가 되었다. 1388년 최영이 요동정벌을 강행할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 예하에 배속되어 위화도회군에 참여하였다. 구 세력 제거에 참여한 뒤, 이듬해 판개성부사를 거쳐 문하찬성사에 올랐다. 1390년에는 평리(評理)가 되어 회군공신으로 추록되었고, 양광도찰리사가 되었다. 이듬해 정월 이성계가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하자 중군총제사로 임명되었다. 1392년 7월 문하우시중으로서 조준·정도전과 함께 공민왕 비인 정비(定妃)에게 왕은 정사에 어둡고 덕이 없어 임금으로 삼을 수 없다고 하고, 그의 교(敎)를 받드는 형식으로 공양왕을 폐하고 이성계를 추대했다.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일등으로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으며, 문하좌시중이 되었다.
조준(趙浚)은 1388년 위화도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한 이성계(李成桂)에게 중용되어 지밀직사사 겸 대사헌에 올랐다. 1390년 전제개혁을 단행하여 구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붕괴시키고 조선왕조 개창의 토대를 마련했다. 1392년 7월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 개국 후 개국공신 1등으로 평양백(平壤伯)에 봉해졌다. 문하우시중을 거쳐 문하좌시중·오도도통사(五道都統使)가 되었으며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하는 등 신왕조의 체제 정비에 크게 기여했다. 세자 책봉·요동 정벌 등을 둘러싸고 정도전과 대립하게 되어 이방원(李芳遠)과 정치적 입장이 가까워지게 되었다. 1400년 11월 이방원을 왕으로 옹립, 좌정승·영의정부사가 되고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이 되었다.조준의 정치이념은 인정(仁政)과 법치였다. 궁극적인 목표를 유교의 왕도와 인정에 두되 그 방법에 있어서는 법치를 강조했으며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경계를 바르게 하고, 기강을 세우는 문제를 강조했다. 주례(周禮)의 육전에 의하여 중앙 정치제도의 완비와 재상이 중심이 되는 정치운영을 주장했다. 재상의 역할은 군자를 천거하고 백관을 바르게 하는 것이며, 군주는 적합한 재상을 얻어 함께 의논할 뿐이라고 했다. 주자학적 통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