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5.7℃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4.3℃
  • 맑음대구 16.3℃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7.4℃
  • 맑음강화 13.1℃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6.4℃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토론방

번호
말머리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13153 공부도 못하면서 주접을 떠는 여자는? 공주 57NywiR 김현수 2021/05/13 1318 0
13152 이중고 하면 어떤 사람한테 버스 안에서 발등을 밟힌 것일까?… 김현수 2021/05/13 1450 0
13151 남의 등이나 쳐 먹고 사는 사람? 안마사 GxOgJq3 김현수 2021/05/13 1415 0
13150 요조숙녀란? 요강에 조용히 앉아있는 숙녀 HBBq6mo 김현수 2021/05/13 1415 0
13149 하늘에는 총이 두개 있고 땅에는 침이 두개 있다 무엇인가? 별… 김현수 2021/05/13 1496 0
13148 개가 사람을 가르친다를 나타내는 사자성어는? 개인지도 IbC… 김현수 2021/05/13 1574 0
13147 새우와 고래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새우 새우는 깡이고. 고래… 김현수 2021/05/13 1256 0
13146 누구나 즐겁게 웃으며 읽는 글은? 싱글벙글 D6NXqcd 김현수 2021/05/13 1033 0
13145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은? 과 Zb72XZJ 김현수 2021/05/13 1284 0
13144 재밌는 곳은 어딜까? 냉장고에 잼 있다. ivUes6p 김현수 2021/05/13 1288 0
13143 불만 있는 사람이란?담배는 없고 성냥만 있는 사람 parFng… 김현수 2021/05/13 1273 0
13142 하늘이 파란 이유는? 구름이 없으니까 JvEBg6x 김현수 2021/05/13 1079 0
13141 잠자는 소는? 주무소 wN83R9c 김현수 2021/05/13 1061 0
13140 학생들이 싫어하는 피자는? 책피~~~자 zj6QgVr 김현수 2021/05/13 1200 0
13139 꿩 먹고. 알도 먹는 사람은? 꿩 주인 lTF52yS 김현수 2021/05/13 823 0
13138 땅 투기꾼과 인신 매매범을자로 줄이면? 땅팔자 사람팔자 w… 김현수 2021/05/13 1661 0
13137 한국이 배출한 세계 최초에 여성 장군은? 지하여장군 mV3o… 김현수 2021/05/13 1409 0
13136 죽을래의 반대말은? 살래 포로기 이후의 레위 제사장 가문 이… 김현수 2021/05/13 1412 0
13135 잠자는 소는? 주무소 A0dU3i8 김현수 2021/05/13 1315 0
13134 장사꾼들이 싫어 하는 경기? 불경기 OGVDkLn 김현수 2021/05/13 1280 0

포토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보건복지국 행정사무감사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위원장 박창석)는 7일 보건복지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의료 불균형 해소와 공공의료 확대, 출자·출연기관 관리 강화를 비롯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주요 현안 전반을 점검했다. 박창석 위원장(군위군)은 의료취약지로 지적되는 군위군의 병원 부재와 야간·응급진료 공백 문제를 언급하며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과 의료인력 지원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국 소관 위원회 운영에서 위원장 공석 및 서면회의 증가, 저조한 회의 참석률 문제를 지적하며 실효성 있는 위원회 운영을 주문했다. 이재숙 위원(동구4)은 대구의료원 생명존중센터와 통합난임치료센터 사업이 잇따라 무산된 점을 지적하고 통합난임치료센터의 정상 운영 방안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AI 기반 고독사 예방사업에서 데이터 윤리와 개인정보 보호 체계가 충분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기술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복지정책 추진을 당부했다. 하중환 위원(달성군1)은 최근 집단 식중독 증가 사례를 바탕으로 예방 중심 대응체계 마련과 취약계층 급식시설의 위생·안전 관리 강화를 요구했다. 뿐만 아니라 보건복지국 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