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경우 경주 재보궐 선거에서 정종복 후보를 전략공천 하였지만 친박계의 무소속 정수성 후보가 맞서고 있어 예측을 불허하고 있으며, 친이계의 이상득 의원이 정수성 후보에게 사퇴를 종용했다는 주장이 터져나와 친이-친박간의 폭발 일보직전의 한랭전선을 형성하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정동영 전 장관을 공천에서 배재한 것은 물론 최후에 김근식 후보로 전략공천이 마무리되자 정 전 장관이 탈당과 더불어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고 선거운동에 나서고 있어 전주 덕진 선거구가 술렁이고 있는 모습이다. 전통적인 민주당의 표밭이라는 것과 정동영 전 장관의 초선의원 지역구라는 이해관계가 얽혀 유권자들이 민주당을 선택할 것인가?, 정동영 전 장관을 선택할 것인가하는 기로에서 고민하게 하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한 선거구를 두고 당이냐, 인물이냐라는 고민을 유권자에게 던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였으며, 이 상황을 이용한 무소속 후보가 의외의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분석도 쏟아지고 있다. 당과 인물을 놓고 고민해야 하는 유권자로서는 그동안 각당의 정치행보에 회의를 던지고 외면하는 상황에서 굳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보다는 새롭고 참신한 인물을 택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유권자들의 선택이 당이나 인물을 선택했을 때는 안도의 한숨을 쉴수 있지만 무소속 후보가 선전할 경우 당과 인물 모두 버림받는 것은 물로 앞으로의 정치행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재보선에 임하는 각당의 각오가 어느 때보다 더 치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내우외환을 겪고 있는 양당이 난국을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