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영남권 물류 혁신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경산~울산 간 고속도로 신설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1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남권 물류 혁신을 위한 경산~울산 간 고속도로 신설 정책토론회’*는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이번 토론회는 조지연 국회의원(경북 경산)과 김기현·박성민·서범수 의원(울산)이 공동 주최하고, 경상북도·울산광역시·경산시가 공동 주관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당 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안효대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사업 추진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박기범 경일대학교 교수는 “경산과 울산을 직접 연결하는 고속도로는 물류 유통 확대는 물론, 경북 남부와 경남 북부의 경제 교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승준 대구대학교 교수는 “내륙의 부품 산업과 연해의 완성차·수출 거점을 직결해 지역 산업의 연계성을 높이고, 균형 있는 발전을 견인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토론은 고용석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진행으로, 김근욱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 조미정 울산연구원 연구위원, 최병환 경상북도 도로철도과장, 김준홍 울산광역시 건설도로과장, 이용재 국토교통부 사무관이 참여해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모색했다.
최병환 과장은 “경산과 울산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고속도로는 경제·사회·문화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되도록 도 차원에서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준홍 과장은 “울산 도심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과 연계해 초광역 고속도로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경상북도는 경산~울산 고속도로가 완공될 경우, 이동 거리가 23km(73km→50km), 이동 시간이 16분 단축돼 연간 물류비 1,817억 원 절감과 2만4천 명 고용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역 기업 경쟁력 강화와 국가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금희 경북 경제부지사는 “경산~울산 고속도로는 대구·경북과 울산, 나아가 영남권 전체를 아우르는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축”이라며 “국토부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지연 의원 “미래 산업 지도 바꿀 전략적 대안”
토론회를 주최한 조지연 의원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교통망 확충이 아니라 영남권 물류 혁신의 핵심 인프라이자 미래 산업 지도를 바꿀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이라며, “오늘 형성된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 함께 힘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