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일본은 미래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다”며 “이를 통해 한일 양국의 협력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세계평화와 번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적극적 대응을 주장한 홍준표 대표와는 달리 조용한 외교를 암시했다. 일본의 독도에 대한 야욕이 더욱 노골화 되고 있으며, 심지어 일본 의원들이 독도 방문 강행에 이르자 우리정부는 입국자체를 거부하며 강한 유감과 외교적 마찰을 우려했었다. 또한 동해표기에 대해 국제사회가 일본해로 표기한다는 입장이 나오자 우리정부는 동해표기 병행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으나 공허한 메아리가 될 공산이 너무 크다. 일본이 수십년간 한반도와 대륙에 대한 침략의 야욕을 수면아래 가려 놓은채 꾸준한 로비를 진행한 것에 견주어 볼 때 우리정부의 조치는 미봉책에 불과한 상황에 이르자 정부와 여당인 한나라당은 국민들에게 설득력 있는 호소가 절실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앞다투어 나오고 있다. 때를 맞추어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14일 “독도에 해안경비대가 있을 것이 아니라 해병대가 주둔해야 한다”는 발표와 더불어 조용한 외교가 아닌 적극적 대응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기자 회견에서는 정부의 해당부서인 국방부와 외교부 장관과의 의견 조율까지 있었음을 밝히며 조만간 청와대와 조율하여 해병대 주둔을 실현할 의지를 표현했었다. 그러나 청와대는 당정간의 문제라며 청와대의 적극적 개입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 채 일본의 도의적 책임을 요구하는 선에서 마무리 되었다. 독도문제는 비단 영토적 문제 뿐 아니라 반일감정을 유발하고 민심을 유도할 수 있는 좋은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홍준표 대표가 이슈화 시켜 민심과 당심 그리고 내년 총선에서의 표심까지 얻으려던 계획이 청와대의 엇갈린 반응으로 당분간 갈지가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