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외부환경, 그 속에서 주목해야 할 성장 분야는 무엇인가?’
미래의 불확실성과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혁신주도형 R&D 기획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의 신기술 연구개발 여건 역시 제대로 활성화 되고 있지 않아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꼽힌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장경제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술의 사회적 이슈, 응용 및 시장 선점 가능성 등 연구개발과 더불어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은 시점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기술기회발굴(TOD,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사업이 난제의 해결책으로 주목되고 있다.
신기술 기획의 청사진을 그리는 TOD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10년에 발표한 ‘중견, 중소기업의 미래 수익원 확보 현황’을 살펴보면, 약 50%이상의 기업들이 3년~5년 이후의 새로운 성장분야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전언이다. TOD는 이런 상황에서 ‘기술이 가질 수 있는 기회’와 ‘기회가 될 수 있는 기술’을 찾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를 발견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전문가들은 이 시스템이 신사업 발굴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은 물론 혁신주도형으로 바뀌고 있는 연구개발 패러다임과도 부합되는 부분이라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기술기회탐색과 경쟁정보 분석을 위한 시스템 구축
2011년부터 추진되어 온 TOD는 논문, 특허 등 과학기술 관련 정보들을 분석해 기회기술 발견에 있어 자동화, 지능화된 시스템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KISTI는 정보계량분석이론, 기술경영이론 및 시맨틱 기술(컴퓨터가 정보의 의미를 지능적으로 이해하고 정보들 간의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첨단기술)을 융합하여, 산학연 R&D 주체의 다양한 기술기회 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와 더불어 국내외 글로벌 경쟁기술의 활동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인 COMPAS(COMPetitive Analysis Service)를 개발, 핵심 경쟁자 탐색, 핵심 경쟁자 프로파일, 유사특허 탐색, 무역역조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해 TOD체제를 한층 더 강화할 예정이다. KISTI는 TOD서비스가 검증 단계를 거쳐 일반에게 공개되기까지 향후 2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김강회 기술기회연구팀장은 “KISTI의 TOD 시스템이 완성될 경우, 신기술사업 기획비용절감 효과와 더불어 추가 R&D 투자확대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미래기술 선점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새로운 활력소를 제공할 수 있어 국가 경쟁력에 힘을 실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이루어 온 KISTI 정보분석사업의 경험을 살려 TOD연구의 상용화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