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광역시가 군위군과 연결되는 자가통신망 1단계 구간 구축을 완료하고 6월 말 정식 개통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개통으로 연간 약 6억 원의 통신비 절감이 기대되며, 시는 본격적인 디지털 행정 인프라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자가통신망 구축은 2023년 7월 군위군의 대구 편입에 따른 행정망 통합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총연장 121km, 사업비 23억 원(행정안전부 특별교부세 20억 원, 대구시 3억 원)이 투입됐으며, 시와 군위군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이 구간은 이중화(링) 구조로 설계돼 통신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대구시는 군위군 관내 42개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총 242km의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자가통신망 통합사업을 2단계로 추진하고 있으며, 2단계 구간은 내년도 예산을 반영해 2026년 말까지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대구시 자가통신망은 총 연장 914km 규모로, 390개 행정기관을 연결 중이다. 2019년 자가통신망으로 전환한 이후 이용 회선 수는 2,017회선에서 16,850회선으로 8배 이상 증가했고, 연간 약 151억 원의 통신비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누적 절감액은 635억 원에 달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군위군 1단계 구간 개통으로 자가망 연계성이 강화되어, 공공요금 절감뿐 아니라 효율적인 디지털 행정서비스 구현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는 전국 최대 규모의 **IoT 전용 무선 자가통신망(기지국 216개소)**도 도심 주요 지역에 구축해 상수도 원격검침, 보안등 관리, 주차정보 등 다양한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이 직접 ICT 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스마트광통신센터 홍보관’을 무료 운영 중이다. 자율주행 안내로봇 ‘쑤봇’을 비롯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등 콘텐츠가 전시돼 있으며, 대구콘서트하우스 지하 1층에 위치한 이 공간은 통합예약시스템을 통해 사전 예약 후 이용 가능하다.
안중곤 대구시 행정국장은 “AI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자가통신망은 행정 효율성은 물론 시민 체감형 서비스 확대에도 핵심 기반이 된다”며 “대구시가 디지털 혁신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