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서울시가 새롭게 도입한 ‘한강버스’가 운항 나흘 만에 강 한가운데서 20여 분간 멈춰 서는 사고가 발생해 시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과거 오세훈 시장 재임 시절 졸속 추진됐다가 실패로 끝난 ‘수상택시’ 논란이 다시 떠오르며 ‘안전불감증 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 당시 한강버스는 명확한 안내방송조차 하지 못한 채 원인 파악이 지체되면서, 배에 탑승한 100여 명의 시민들이 불안 속에서 20여 분간 갇혀 있어야 했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은 “아주 작은 변수에도 속수무책이었던 이번 사고는 ‘오세훈식 졸속행정’의 민낯을 드러낸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사고는 단순한 운영 미숙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선박 제작 단계에서부터 고압 전기시설과 배터리가 빗물에 노출된 사실이 확인됐으며, 최근 행정안전부 안전점검에서도 발전기 고장이 지적된 바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근본적인 보완책 없이 임시방편으로 대응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며칠 만에 다시 배터리와 발전기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서 ‘보여주기 행정’이라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은 이번 사태를 과거 수상택시 사업 실패와 연결 지었다. 수상택시는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시민들의 외면을 받으며 막대한 예산만 소모한 채 중단됐다. 민주당은 “오세훈 시장은 과거의 실패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하고 ‘한강 과시행정’에 집착한 결과, 또다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태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당은 “혈세를 낭비하고 시민의 생명을 위협한 오 시장은 스스로 책임지고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라며 사퇴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