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국군 장병들의 식탁에 중국산 김치가 대거 올라온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강대식 의원(국민의힘, 대구 동구을)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민간 위탁급식 업체 7곳 중 5곳이 전체 25개 부대 가운데 13개 부대에 중국산 김치를 납품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육군 ○사단의 경우 지난해 12월 입고된 김치 27건(770㎏)이 전량 중국산이었으며, 또 다른 부대에서도 2024년 11월 김치류 입고내역 36건이 모두 중국산이었다. 배추김치뿐 아니라 열무김치, 총각김치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됐고, 김치전·다진김치처럼 다른 음식 재료로 쓰이는 2차 가공품 역시 중국·베트남산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서는 “계약 당시 국내산 80%, 외국산 20% 사용 조건을 내걸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며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외국산 사용 비중이 훨씬 높은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더 큰 문제는 원산지 속이기에 그치지 않고, 물량을 허위로 부풀려 대금을 과다 청구한 사례까지 적발됐다는 점이다.
A사는 2024년 10월 B사로부터 공급받은 불고기용 돼지고기(후지) 381㎏을 ○○부대에 납품하면서 568㎏으로 조작해 청구했다. 이 업체는 원산지 허위 표시와 수량 부풀리기를 통해 최소 2,700만 원 이상의 부당 이득을 챙긴 것으로 추정된다. 해군은 해당 업체를 사기 혐의로 고소할 예정이다.
관계자들은 “단 한 곳의 업체만 조사했는데도 이 정도의 조작이 드러났다는 건, 실제 현장에서는 훨씬 더 많은 불법 사례가 숨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군 급식을 개선한다며 민간 위탁급식을 도입하고 단가까지 올렸지만, 정작 장병들의 밥상에는 중국산 김치와 수입 농산물이 버젓이 오르고 있다”며 “부당 이득 업체까지 적발된 만큼 군 급식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와 함께 ‘통합 관리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최근 중국의 ‘김치공정’이 한창인 상황에서 우리 군대 식탁조차 지켜내지 못한다면 그 파장은 결코 가볍지 않을 것”이라며 “대한민국 군대의 밥상에서만큼은 우리의 김치와 문화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