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스 유한나 기자] 새누리당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12일 이한구 원내대표가 “정체불명의 경제민주화”라며 경제민주화 정책을 비판한 데 대해 “나는 그 사람 얘기하는 것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김종인 위원장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이 원내대표와의 ‘경제민주화 갈등’과 관련,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두 분이 차이를 갖고 있지는 않다고 본다”고 말한 데 대해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내가 생각하는 것과 (이 원내대표의 생각이) 같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며 “박 후보께서 당내화합 등 이런 차원을 생각했기 때문에 일단 그런 식으로 발언하지 않았나,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제민주화가 재벌개혁으로 비쳐지는 것에 대해선 “경제민주화=재벌개혁, 이런 식의 등식은 성립할 필요가 없다”고 반박했다.
김 위원장은 “그 사람들(재벌들)이 행동을 어떻게 변경하느냐를 갖다가 지금 우리가 추진하는 ‘경제민주화’를 하려는 것”이라며 “그걸 갖다가(결제민주화 정책으로) 어떻게 당장에 ‘재벌을 어떻게 개혁하겠다’는 의도를 가진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경제주체, 재벌이라는 경제주체가 스스로 자기들을 자제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제도적인 것을 만들어 놓으면 그 제도에 적합하게 자기 스스로를 갖다가 변경시키지 않으면 (재벌 스스로) 존속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김상조 교수가 ‘김 위원장이 결국 토사구팽 당할 것 같다’고 발언한 데 대해선 “어제 (김 교수의 발언을) 듣고서 김 교수하고 통화를 해봤다”면서 “토사구팽이란 말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토사구팽'은 "사냥꾼이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를 뜻으로, 이용만 당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내가 앞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서 무모하게 뭐를 갖다가 생각하는 사람도 아니고, 박 후보를 돕는다고 그래가지고 박 후보한테 뭘 기대하는 바도 없다”며 “(경제민주화를) 진실되지 않고 일단 선거를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한다고 하는 것을 감지하는 순간에 나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일을 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박 후보의 ‘인혁당 사건’ 발언에 대해선 “법원의 판결이라는 것은 최종판결이 그 자체를 인정하는 것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며 “어제 박 후보 스스로도 그걸 갖다가 수정을 해가지고 얘기를 갖다가 했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 문제(인혁당사건 평가 논란)는 그렇게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지 않나”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