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스 유한나 기자] 새누리당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14일 “삼성그룹이 우리나라 각 분야에서 25% 정도 차지한다”며 “경제현상의 경우에 따라 실패할 수도 성공할 수도 있는 기업에 국가의 운명을 맡기는 짓은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한국재무학회·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경제민주화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가 (핀란드의) 노키아가 이렇게 될지 몰랐다. (일본의) 소니 같은 회사가 오늘처럼 허덕이게 될지 생각하지 못했다”면서 재벌 개혁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자연의 이치가, 나무가 아무리 잘 자라고 해도 하늘 꼭대기까지는 못 올라간다”면서 “5년을 감당할 새 대통령이 이 인식을 제대로 못한다면 그 정부도 1년 정도 가면 흔들흔들해서 아무것도 못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영토 확장에 열을 내는 게 재벌의 속성인데 이런 재벌의 탐욕이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경제·사회 구조를 이런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IMF(외환위기)가 왔을 때 흔히 시장주의자처럼 정부가 ‘너희들이 잘못했으니 망하라’고 그렇게 했느냐”며 “그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서 기업들의 전반적인 부실을 해결해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분명히 말하지만 양극화와 빈부격차 심화와 같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 경제가 효율과 안정을 추구하면서 지속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여기에 한계를 분명히 하지 않으면 사회적으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해 양극화 해소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