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스 유한나 기자] 새누리당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25일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과 관련해 “자꾸 NLL을 쟁점화 한다고 해서 특별히 선거에 도움이 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서 “지난 2010년 천안함 폭발 이후, 그 때도 그것이 굉장히 안보의식을 고취해서 당시 새누리당에 유리할 것이라는 예측을 했지만 선거결과는 정 반대로 나오지 않았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이런 것(과거 사례)을 생각해볼 것 같으면 선거전략상 무엇이 현명한 것인가 잘 판단하리라 본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선후보의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해선 “한 쪽(야당)에서 상대방을 비방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시작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정치권에서 늘 공방을 하는 과정 속에서 불거져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이런 문제는 더 이상 거론을 자제하는 것이 우리 정치발전을 위해 옳지 않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 등 이사진 사퇴 가능성에 대해 “박 후보께서 사퇴를 하라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그걸 금방 받아서 사퇴하기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석연치 않다고 생각할 것”이라며 “어느 일정 시기가 지나면 본인들(이사진) 스스로가 잘 판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 관련 기자회견에서 “고(故)김지태 유족이 처벌을 피하려 재산을 헌납했다”고 말한 뒤 번복해 보좌진에 대한 지적이 나오는 데 대해선 “나라를 이끄는 대통령이 될 사람이 그렇게 자기가 오랫동안 데리고 있던 보좌진 몇 사람에게 의존해서 모든 결정을 내린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박 후보가 발표한 ‘창조경제론’이 IT에 중점적‘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우리가 IT를 기반으로 해서 머리를 가지고 제대로 발전시킬 수 있는 그러한 지능개발이 더 중요하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그는 “‘창조경제’라고 하는 말 자체를 가지고 임의적으로 마음대로 해석해서 단정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