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스 유한나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은 14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의 부산저축은행 의혹과 관련해, "신불자들 등골을 빼내서 경남 양산에 대지 800평 집을 마련하고 떵떵거리면서 사는 대통령 후보에게 서민들과 중산층을 위한 나라를 맡길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김 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14일) 문 후보의 부산저축은행 의혹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을 하나 밝히려고 한다"며 "문재인 후보가 굳이 왜 부산저축은행을 봐 달라고 금감원에 청탁 전화까지 넣었느냐, 그 이유를 오늘 밝히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법무법인 부산은 2004년부터 2012년까지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70억원의 수임료를 받고 일감을 따냈다"며 "그 일감이 무엇이냐, 바로 문재인과 그 친구들이 신용불량자들의 등골을 빼내 자신들의 잇속을 챙긴 ‘신불자 게이트’를 위해서"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문 후보가 재직한 법무법인 부산이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따낸 일감은 채권추심회사들이 신용불량자들 5만명에 대해 10년동안 채권추심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신용불량자 채권소멸 시효 연장’ 소송의 대가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법무법인 부산은 5만명의 신불자들의 채권을 연장해주기 위해서, 즉 신불자 1명당 14만원을 받고 간단한 서류를 써주는 대가로 일개 저축은행으로부터 70억원을 챙긴 것"이라며 "이게 문재인 후보의 부산저축은행 70억원 게이트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신불자의 채무재조정을 해준다면서 도입한 프로그램이 한국자산관리공사, 즉 캠코의 ‘채무재조정 프로그램’ "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국책금융기관인 캠코가 문재인 후보뿐 아니라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후보와 가까운 친노 인사들에게 ‘일감 몰아주기’를 해서 이 일을 모두 몰아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친노 변호사들은 문재인 후보가 재직한 법무법인 부산과 마찬가지로 2002~2003년 카드대란으로 인해 발생한 연체채권들의 소멸시효 연장 일감을 거의 대부분 싹쓸이 했다"며 "민주통합당 최재천 의원은 17대 국회의원으로 재직하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캠코로부터 신불자 연체채권 소멸시효 연장 일감을 받아서 3억3000만원을 챙겼다"라고 밝혔다.
또한 김 본부장은 "2009년 5월 25일자의 한 일간지(한겨레) 기사를 보면 노 전 대통령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후보로 조성래 변호사를 추천한 것 외에 일체 공천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자부했다고 돼 있다"라며 "조성래 변호사는 ‘법무법인 동래’ 변호사로 재직하면서 1만1283명의 신불자들 채권추심을 도와주는 대가로 13억9000만원을 캠코로부터 받았다. 문재인 후보의 법무법인 부산이 일감을 수주한것과 거의 똑같다."라고 했다.
이밖에도 그는 "역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의 오랜 민주화동지인 법무법인 푸른의 정철섭 변호사. 정 변호사는 법무법인 명의로 무려 37억원을 챙긴다."라며 "신불자 3만5000명이 정철섭 변호사의 채권연장으로 향후 10년간 추심회사의 고문같은 독촉을 받아야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본부장은 "민변 소속, 열린우리당 소속, 노무현 정권때 측근이었던 ‘친노 변호사’들이 대거 신불자들의 등골을 빼먹는 ‘신불자 게이트’에 가담했다"며 "많게는 수백억원이 노무현 정권과 관련있는 변호사들에게 ‘일감 몰아주기’ 형태로 특혜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본부장은 "노무현 정권에서 시민사회수석과 민정수석, 비서실장으로 일했던 변호사 문재인, 그리고 문재인과 가까운 친노 변호사들이 개입하거나 최소한 방조한 특혜에, 썩은 변호사들이 돈잔치를 벌인 것"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재인 후보는 ‘피에타 3법’ 운운하면서 신용불량자들을 위한다고 하고 있다"며 "문재인 후보와 그의 친노 변호사 친구들은 신불자들을 끝없는 빚독촉이라는 고난에 처하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