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민·관 상생협력을 통해 전국최초로 개인형 이동장치(PM) 최고속도를 하향조정(25→20km/h)한 결과 전년 동기간(1~6월)과 비교해 교통사고는 29% 감소, 부상은 28% 감소하여 PM 안전사고 예방에 뚜렷한 성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지역에 운행하는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는 2020년 8월 1,050대로 시작해 2023년 12월 9,430대로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관련 교통사고도 2020년 43건에서 2023년 145건으로 247%로 급증하면서 대구시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이 시급했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9월 대여사업자, 관련기관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PM 안전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12월부터 전국최초로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최고속도를 25km/h에서 20km/h로 하향조정했다.
더불어 5대 절대 주정차금지구역, 5대 올바른 이용수칙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한 올바른 이용 가이드라인을 함께 마련했고 구·군 및 경찰청과 상시단속 및 합동단속을 병행하면서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안전운행과 올바른 이용문화 정착에 힘을 쏟았다.
.
그 결과, 개인형 이동장치(PM)관련 교통사고는 전년 동기대비(1~6월)
20건 감소(29%↓)했고, 부상은 23건 감소(28%↓)하는 효과*를 얻었다.
* PM 최고속도 하향조정 효과(사고/ 20건↓, 29%↓, 부상/ 23건↓, 28%↓)
(2023.1~6월) 사고 71건, 사망 1명, 부상 82명 ➠ (2024.1~6월) 사고 51건, 사망 0, 부상 59명
이는 대구광역시가 민관협력 상생결의를 통해 민간업체가 가장 민감해 하는 PM속도에 대해 현행법에서 규제하는 25km/h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구시가 먼저 나서 20km/h로 하향조정하는데 합의함으로써 이루어 낸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 및 국토교통부는 대구시가 도입한 PM 속도하향 정책의 전국확산을 위해 부처 합동으로 올해 7월 대여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12월 말까지 서울과 부산 등 전국 주요도시에서 PM속도를 시속 20km로 제한하는 시범운영 사업을 실시한 후 관계법령의 개정까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한편, 대구시는 오는 8월 말 민관 협력회의를 개최해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PM의 주차질서를 유도하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가상주차구역*의 도입 여부와 PM 민원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PM민원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고 다시 한번 민간의 협력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 가상주차구역 : 공유PM 운영사 앱과 GPS시스템을 활용하여 공유PM을 물리적인 주차 시설없이 앱상으로 설정된 주차구역에 주차하도록 유도
** PM민원관리시스템 : 일반시민들이 PM민원을 쉽게 신고할 수 있는 PM 관리시스템
정장수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은 “대구시에서 선도적으로 추진한 PM속도 하향은 이용자의 안전과 시민불편을 민관이 함께 고민하고 협력해서 이뤄어낸 결실이다”며 “대구시는 앞으로도 새로운 교통수단인 PM을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활용하면서 이동의 편리성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 고 | | 개인형 이동장치(PM) 현황 및 사고현황 |
□ 업체현황 (7개사 9,245여대, ‘24.6월)
(2024. 6월말 기준)
구분 | 빔 (빔 모빌리티코리아) | 씽씽 (피유엠피) | 지쿠 (지바이크) | Deer (디어코퍼레이션) | Flower (플라잉) | 알파카 (매스아시아) | 스윙 (더 스윙) |
운영시기 | ’20. 8. | ’20.8. | ’20.10. | ’20.10. | ’20.12. | ’21. 2. | ’21. 7. |
운영대수 | 4,200 | 1,650 | 1,675 | 870 | 280 | 270 | 300 |
- 운행대수 : 2,973대(‘20년) → 5,850대(’21년) → 6,690대(’22년) → 9,430대(’23년)
□ 사고현황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104 | 0 | 116 | 152 | 3 | 169 | 145 | 2 | 165 |
※ 출처 :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
□ 대구시 1~6월 PM 사고현황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
계 | 55 | 0 | 61 | 74 | 1 | 83 | 71 | 1 | 82 | 51 | 0 | 59 |
1월 | 6 | 0 | 6 | 5 | 0 | 5 | 7 | 0 | 7 | 7 | 0 | 8 |
2월 | 2 | 0 | 2 | 6 | 0 | 8 | 7 | 0 | 7 | 7 | 0 | 7 |
3월 | 8 | 0 | 8 | 9 | 0 | 9 | 14 | 0 | 14 | 6 | 0 | 7 |
4월 | 11 | 0 | 11 | 17 | 0 | 18 | 13 | 0 | 22 | 10 | 0 | 13 |
5월 | 12 | 0 | 17 | 18 | 1 | 22 | 16 | 0 | 17 | 12 | 0 | 14 |
6월 | 16 | 0 | 17 | 19 | 0 | 21 | 14 | 1 | 15 | 9 | 0 | 10 |
※ 출처 :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 대구시 경찰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