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를 대표하는 여름 축제인 ‘2025 대구치맥페스티벌’이 올해 총 115만 명이 찾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구광역시는 SK텔레콤·현대카드·SNS 빅데이터를 활용해 방문객 규모와 소비 영향 등을 정밀 분석한 결과, 경기 침체 속에서도 4년 연속 100만 명 이상이 축제장을 찾았다고 5일 밝혔다.
시는 두류공원과 평화시장 닭똥집 골목, 서부정류장 일대로 구역을 나누어 방문 인구와 카드 매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언급량을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축제 방문객은 평시 대비 24.4% 증가했고, 카드 매출은 17.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123만 명보다 6.5% 감소한 수치다.
특히 동대구역과 신세계백화점이 포함된 평화시장 반경 1㎞ 내 상권에서 카드 매출이 9.4% 증가하는 등 축제 효과가 주변 상권으로 확산된 것으로 분석됐다.
축제에 대한 온라인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축제 기간 동안 치맥페스티벌 관련 SNS 언급은 총 1,616건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 감정어 출현 빈도는 118% 늘었으며, ‘즐기다’, ‘신나다’ 등 긍정 표현이 89.3%를 차지해 관람객 만족도가 높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축제는 유료 좌석 관람객 증가도 눈에 띄었다. 대구시는 축적된 방문 시간대·동선 데이터를 활용해 운영 효율을 높였고, 그 결과 유료 관람객은 5,564명, 판매금액은 1억 1,200만 원으로 2018년 유료화 도입 이후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이 빅데이터 수치를 토대로 산정한 경제적 파급효과도 컸다. 축제장 내 1인당 평균 소비지출액 14,300원과 교통·숙박비 등을 합산한 전체 소비지출은 약 323억 원이다. 이는 생산유발효과 684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68억 원, 취업유발효과 654명 등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수익을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
박기환 대구시 경제국장은 “대구치맥페스티벌은 지역을 넘어 글로벌로 확장 가능한 문화관광 축제”라며 “내년부터는 외국인 방문객 데이터를 추가 분석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