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서울시가 세계유산 종묘 인근 세운4구역에 최고 142m 높이의 초고층 건물을 허용하는 개발 계획을 추진하면서 문화유산 훼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유네스코가 권고한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채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시민사회와 정치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은 7일 논평을 통해 “조선 왕실의 위패가 모셔진 성소이자 대한민국 첫 번째 세계유산인 종묘의 역사적 품격을 업자 이익 앞에 내던지는 퇴행적 행정”이라며 서울시의 조치에 강한 유감을 표했다.
서울시는 고도 규제를 완화해 건물 높이를 늘려도 종묘 일대에 일조권 등 물리적 영향이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서울시당은 “문제의 본질은 ‘그늘’이 아니라 종묘의 역사적 조망과 공간축, 도시 속 상징성”이라고 강조했다. 도시 경관과 유산이 갖는 정신적·문화적 가치가 무시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국가유산청과의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앞서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세계유산 등재 취소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공개적으로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서울시당은 “세계유산의 보존은 법적 최소 기준을 만족시키는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자존과 문화 외교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서울시당은 “서울시가 업자 이익과 개발 논리를 앞세우는 ‘업자 동행 행정’을 중단해야 한다”며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즉각 실시하고 종묘 경관 보존을 전제로 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민주당 서울시당은 “세계유산 도시로서 서울의 품격을 지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대응하겠다”며 “문화유산 앞에서 정치적 욕심을 앞세우는 행정은 시민의 신뢰를 잃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