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윤영애)는 11월 19일 대구정책연구원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연구 수행 과정의 불합리성과 운영 전반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위원회는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고 연구원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을 주문했다.
윤영애 위원장(남구2)은 연구가 특정 연구위원에게 편중되는 현상을 지적하며 “연구 수행의 적정 분배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부서 간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가 오히려 연구원 통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제도의 취지를 살린 원활한 운영을 당부했다.
류종우 위원(북구1)은 규정과 달리 연구 항목 및 결과 보고서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규정에 따른 적극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하며, 비공개 시 명확한 사유를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영평가 성과가 제자리걸음 상태라며 실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김원규 위원(달성군2)은 연구 관련 예산 집행이 저조한 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인건비 집행 및 인력 충원이 지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해외출장이 특정 연구위원에게 몰리는 현상을 언급하며 “공정한 기회 보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대현 위원(서구1)은 연구 결과가 정책 대안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객관성을 기반으로 한 절차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연구원이 추진 중인 ‘연관융합형 싱크탱크 모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점검과 구조적 재검토를 요구했다.
육정미 위원(비례대표)은 일부 연구위원이 연구 실적이나 전공과 무관하게 과도한 대외활동을 하고 있다며 내부 지침의 현실화를 강조했다. 이어 일부 연구용역의 핵심 부분이 외부 업체로 재위탁되는 관행을 비판하며 자제를 요청했다.
이성오 위원(수성구3)은 타 광역시 연구원과 비교해 상당한 규모의 자체 기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을 지적했다. 그는 기금 활용 방안 마련을 주문하고, AI·영상 분야 전문 인력이 부족한 문제를 언급하며 적극적인 전문인력 채용을 제안했다.
이번 감사에서 기획행정위원회는 연구의 질 제고, 공정성 확보, 조직 구조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구정책연구원이 지역 정책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