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일까지 20일동안 열리는 국정감사 첫날인 지난 14일, 국회 곳곳에서는 여야가 격렬한 공방을 이뤘다.
보건복지부 국감에서는 기초연금과 관련해, 민주당의 "공약 파기" 비난이 이어졌다.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은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낸 돈과 관계없이 정부가 세금으로 주는 것”이라며 "오해를 피하기 위해 국민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기초연금을 노령수당으로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교육부 국감에서는 논란이 된 교학사 역사 교과서와 관련,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여야가 파행을 거듭하다 오후 되서야 감사를 시작했다.
국방부 국감에서는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 관련 댓글 작업 의혹이 제기하면서, 정부와 야당의 신경전이 벌어졌다.
김 의원은 "국군 사이버사령부 530단(사이버심리전단) 요원들이 대선에서 댓글 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선 후 사이버심리전단 직원들이 일괄적으로 포상을 받았다는데 공적이 무엇이냐"고 지적했다.
그러자 국방부 김관진 장관은 "(대선 관련) 댓글이 아니다"라며 "북한이 대한민국의 실체를 부정하고 선전 선동 모략을 하는 데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법원 국감에서는 민주당이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 의혹 사건 관련자들의 처벌을 촉구하자, 새누리당 의원들이 “민주당이 법원에 부당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법원이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 대리투표에 대해 무죄로 판단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논란 등으로 국회 곳곳에서는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했다.
반면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14일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4자회동을 통해 정쟁을 중단하고 민생에 집중할 것을 약속하는 대국민 선언을 하자"고 제의했다.
그러나 민주당 이원주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진정성을 믿을 수가 없다"며 "민생은 국감장에서 논의하겠다"고 일축했다.
한편 박근혜정부 첫 국정감사인 이번 국감은 628개 기관이 대상으로 헌정 사상 최대 규모다.
[더타임스 소찬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