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을지로위원회(아래 을지위)는 28일 "국회 운영위원회 제도개선 소위원회에서 국회청소노동자 직접고용을 논의했으나 새누리당과 국회사무처의 반대로 국회청소노동자의 직접고용은 결국 무산되었다"고 반발했다.
을지위원회 민주당 은수미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1년 당시 박희태 국회의장은 사회적 약자인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간접고용을 직접고용으로 전환해 고용불안을 해소하겠다는 사회적 약속을 한 바 있지만, (강창희) 국회의장과 (정진석) 사무총장이 여야 합의를 핑계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지난 12월 국회운영위원회가 올해 1월 말까지 청소노동자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해 결론을 내리기로 합의했고 (윤상현) 운영위원장도 그 사실을 분명히 했다"며 "하지만 오늘 사무처로부터 '더 이상 직접고용을 하지 않고 간접고용을 유지하겠다'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반면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은 이날 "이 문제는 국회의 청소 분야에 한정되어 논의할 사항이 아니라 우리나라 공공분야의 고용형태 전반의 문제"라며 "외주용역의 방식을 고용형태로 선택하는 것이 옳고 그른지 논의하는 공론의 장이 형성되는 것이 먼저"라고 맞받아쳤다.
김 의원은 "고용계약에 고용승계에 관한 부분이 포함돼 사실상 승계되고 있다"며 "국회사무처TF팀이 소위에 제출한 개선안은 월 18만 원 임금상승 등 복지개선사항을 담고 있고, 이 안(案)으로 충분히 고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더타임스 소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