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광역시는 올해 2월부터 5월까지 지역의 고물상과 폐지수집 어르신을 직접 방문해 1,189명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지수집 어르신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대구시에서 폐지수집을 하는 어르신들은 1,189명으로 284개 고물상과 거래하고 있었으며, 그중 여성이 708명(60%), 국민기초생활 수급 어르신 379명(32%), 기초연금 수급 어르신 1,077명(91%)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 중인 어르신은 261명(22%)이었으며, 신규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은 18%(219명)로 나타났다.
< 2024년 상반기 폐지수집 어르신 전수조사 결과 >
◇ 고물상 248개소, 폐지수집 어르신 1,189명
◇ 여성 708명(60%), 남성 481명(40%)
◇ 기초생활 수급자 379명(32%), 기초연금 수급자 1,077명(91%), 장기요양등급자 64명(5.4%)
◇ 노인일자리 참여 중 261명(22%), 신규 참여 희망자 219명(18.4%)
우선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건강 상태와 상황을 고려해 낮은 강도의 공공 노인일자리를 연계하고, 개인적인 사유로 폐지수집을 계속하길 원하는 어르신 200여 명을 대상으로 6개 구·군 시니어클럽에서 ‘폐지수집 일자리 사업단’을 구성한다.
‘폐지수집 일자리 사업단’은 어르신이 수집한 폐지 등 판매 수익과 추가 지원금을 합해 급여를 지원하는 공공일자리 사업으로, 어르신들이 폐지수집 후 구·군 시니어클럽과 협약을 맺은 공동판매처(고물상 등)로 가져오면 평균수입의 2배가량(월 30만 원 정도)을 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또한, 생계나 주거 어려움에 처한 어르신들은 긴급복지 혹은 달구벌 복지기동대와 연계해 위기 상황 또는 위기 우려 상황을 사전 예방하고, 돌봄이 필요한 폐지수집 어르신은 안부 확인 및 일상생활 지원 등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울 및 만성질환 등을 앓는 어르신은 방문 건강관리사업과 연계해 방문간호사가 주기적인 건강관리(2개월 1회)와 상담을 실시하고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특히, 폭염 및 혹한기 대비용품 지원과 폐지수집 중 발생하기 쉬운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용품을 지원하고 안전교육도 실시한다.
정의관 대구광역시 보건복지국장은 “대구시는 폐지수집 어르신들이 사회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필요한 보건·복지서비스를 적극 연계하고, 안정적인 소득지원을 위해 노인일자리를 확대하는 등 사회안전망으로서의 돌봄 역할과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2024년도 폐지수집 어르신 지원 계획(별첨)
붙 임 | | 2024년도 폐지수집 어르신 지원 계획 |
□ 지원 개요
❍ 지원기간 : 2024. 6. ~ 12.
❍ 지원대상 : 대구시 폐지수집 어르신(24년 전수조사 기준 1,189명)
❍ 지원분야 : 일자리, 생계·주거, 돌봄, 안전
❍ 지원방법 : 소관 부서별 연계 지원
□ 분야별 지원 계획
분야 | | 사업내용 | | ‘24예산 (단위:백만원) | | 소관부서 |
| | | | | | |
| | ① 폐지수집 어르신 일자리 사업단 운영 - 공공일자리 참여를 통한 안정적 소득 지원 추진 - 일자리사업단 등 운영, 폐지수집 활동보조금 지급 | | 167,451 | | 어르신복지과 (구,군 시니어 클럽) |
| | | | | | |
| | ② 폐지수집 어르신 긴급복지 지원 - 생계형 폐지수집(저소득) 어르신의 위기상황 해소 | | 30,000 | | 복지정책과 구·군 |
③ 달구벌 복지기동대 연계 지원 - 사각지대 폐지수집 어르신에게 민간복지자원 연계 현금, 현물, 의료 지원하여 위기상황 사전예방 | | 643 | | 복지정책과 구·군 | ||
| | | | | | |
| | ④ 독거노인 마음잇기사업 연계 지원 - 공적돌봄 미수혜 폐지수집 노인과 자원봉사자 간 결연을 통한 돌봄활동 전개 (안부전화 및 방문) | | 100 | | 어르신복지과 (대구노인 복지관협회) |
| ⑤ 노인맞춤형돌봄서비스 연계로 안정적 생활 지원 - 안전지원, 사회참여, 일상생활지원, 민간연계 등 필요한 분야 맞춤형 서비스 제공 | | 42,715 | | 어르신복지과 구·군 | |
| ⑥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연계 지원 - 폐지수집 독거노인 댁내 게이트웨이·화재·활동 감지기를 설치하여 119와 연계 대응 조치 | | 1,965 | | 어르신복지과 구·군 | |
| ⑦ 폐지수집 어르신 방문건강관리 연계 지원원 - 건강문제 유형에 따라 맞춤형건강관리 | | 비예산 | | 건강증진과 구·군 보건소 | |
⑧ 폐지수집 독거 어르신 폭염·혹한기 극복용품 지원 - 선풍기, 방한복 등 냉·난방 용품 지원 | | 335 | | 어르신복지과 구·군 | ||
| | | | | | |
| | ⑨ 안전한 폐지수집 활동을 위한 안전용품 지원 - 폐지수집 활동 중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 예방 | | 20 | | 자원순환과 구·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