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과 관련해 고(故) 노무현 전(前) 대통령의 지시를 받지 않았다고 말해,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가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사실상 (서해 북방한계선, NLL을) 포기한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이날 조 전 비서관이 검찰 수사 결과를 정면 반박하자 새누리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회의록 초본에서) 포기란 말은 없었지만 사실상 (NLL을) 포기한 발언"이라며 "노 전 대통령이 굴욕 회담 사실이 후세에 알려지는 게 두려워 고의로 삭제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노 전 대통령이 직접 포기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말한 남북 공동 수역에 대해 좋다, 인식을 같이 한다고 했고 결국 북한은 NLL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며 "대북 저자세 역사와 NLL 포기가 만천하에 드러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윤 수석부대표는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의혹에 대한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로 참여정부가 주도적이고 계획적으로 사초를 폐기하고 이를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고 사적으로 빼돌리기한 게 사실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런데도 참여정부 인사들과 민주당은 거짓말과 말 바꾸기로 일관한다"며 "진실을 은폐하고 오히려 검찰의 수사 결과를 짜맞추기 수사라며 정치공세로 몰아가면서 또다시 국회를 볼모로 잡고 있다"고 질타했다.
특히, 윤 수석부대표는 "문재인 의원은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에 청와대 비서실장이었고 회의록을 최종 감수했다"며 문 의원에 대해 책임론을 제기했다.
아울러 그는 조 전 비서관이 검찰수사 결과 발표를 반박한 데 대해 "어찌 혼자 힘으로 삭제할 수 있겠는가"라며 "지금 와서 어찌 단순 실수라고 볼 수 있겠는가. 고인 앞에 그리 말할 수 있겠지만 역사 앞에 솔직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특검 요구에 대해선 "최경환 원내대표가 특위에 대해 유연성을 발휘하겠다고 했지만 특검은 안 하겠다고 말했다"고 말해, 특검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편,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논평을 통해 "새누리당이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저지른 끔찍한 국민기만, 악행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엉뚱한 몸부림을 치고 있는거 같다"며 윤 수석부대표의 기자회견을 힐난했다.
박 대변인은 "새누리당에서 그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에 대한 엉뚱한 책임을 요구 하셨으니 만큼 저 역시 그 당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이셨던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을 지적해보고자 한다"며 박 대통령의 지난해 선거유세 발언을 끄집어냈다.
그러면서 박 대변인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행위에 대해서는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고, 선거에 활용한 적도 없다'고 하신다지만, NLL 대화록 관련 박 대통령 스스로 국민을 속이는 정치선동을 해온 만큼 이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지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더타임스 소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