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텃밭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와 부산경남(PK)에서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 일부 지역에서는 50% 이상 물갈이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현역의원들이 공천을 받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역 의원들이 대거 공천에서 탈락할 경우, 공천 불복에 따른 탈당 후 무소속 출마 사태가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대 총선의 친박연대처럼 "무소속연대"가 출범,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계파별 "공천잡음"이 대규모 탈당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 정권 "실세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박형준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 친이계 인사들의 대거 공천 탈락 논란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공천결과에 따라 "무소속 출마"라는 배수진을 내놓기도 했다. 최유경 기자 서울 종로에 공천을 신청한 이 전 홍보수석은 4일 "새누리당은 루머를 공천기준으로 삼는 것이냐. 선거는 과학이다. "경쟁력 없다"는 루머를 만들어 더 이상 종로를 흔들지 말고 이제는 제발 "과학적 공천을 해주세요"라고 외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자체적으로 선관위에 신고하고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내가 민주통합당 정세균 후보를 5.8% 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낙하산 공천시 무소속 출마도 불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안상수 전 대표도 앞서 자신의 지역구인 경기 의왕 과천을 전략지역으로 지정한 데 대해 "불공정 공천시 중대한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 주민들이 "무소속 출마를 원한다"고 하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만일 공천에서 탈락한 친이계 인사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여권에 대한 지지율을 쪼개게 돼 선거를 치르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현역의원들의 자발적인 용퇴가 예상보다 적었기 때문에 교체비율이 크게 느껴질 수 있다. 현역의원들의 무소속 출마가 많아지면 선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