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속 처음 등장한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제주해군기지는 국가의 필수적 요소”라며“무장과 평화가 함께 있는 건 잘못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당시 참여정부 국무총리였던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는 “미래의 대양해군을 육성하고 남방항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군기지 건설이 불가피 하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또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역시 제주 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해군기지는 제주의 명소가 될 것”이라며 “장성급이 책임자가 되는 함대급이 되어야 위관급 장교 등이 많아 정주 인구도 늘어나고 제주의 중요한 명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유 공동대표는 “자기 지역만의 이익을 도모하면 누가 대한민국 전체의 이익을 살피겠느냐”며 “국가적인 차원의 사업과 연계하고 조화시키면서 지역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동영상 속 후반부에서는 참여정부 핵심을 맡았던 현 야권 주자들이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대해 한 목소리로 반대하는 영상을 담고 있다. 참여정부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던 정동영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먼저 사과드려야 겠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은) 정권을 잡았을 때 저지른 일”이라고 사과했다. 국무총리에서 제 1야당의 대표로 입장이 바뀐 한명숙 대표는 “평화의 섬 제주에 도민의 동의 없이 추진되는 강정해군기지 강행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기존 찬성에서 반대로 입장을 급선회했다. 유시민 공동대표 역시 “진보당은 해군기지를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이 확고하다”며 “지금 진행되는 공사는 중단돼야 하고 그 다음 새로운 해군기지 건설이 필요한지 논의해야 한다”고 기존 발언을 뒤집었다. 이에 동영상 제작자는 “결국은 노무현 대통령이 잘못했다는 소리냐”며 “한미FTA에 이어 제주 해군기지도 말바꾸기 달인들”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2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한·미 FTA나 제주해군기지 분야는 사실은 전 정부에서 결정했다”며 “지금 반대하는 분들 대부분이 그때 두 가지 사항을 매우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지지했던 분들이라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한명숙 대표도 2007년 2월 국회속기록을 보니 ‘대양해군을 육성하고 남방항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해군기지 건설은 불가피한 것’이라고 했고, 유시민 통합진보당 대표도 ‘평화의 섬과 해군기지가 대양의 평화를 지키는 전진기지가 되는 것은 모순이 아니다’고 말한바 있다”며 “그렇게 말한 분들이라 걱정을 덜 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박남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