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전 의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저는 자위대 행사 참석 논란과 관련해 저를 비난한 네티즌에 대한 고소고발을 검토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법적인 대응을 한 것은 판사 시절 제가 맡지도 않았던 이완용 후손의 토지반환 소송에 관한 음해였으며 자위대 관련 사건을 기소해 달라고 서부지검 검사에 기소청탁을 했다는 ‘나꼼수’의 주장은 기본적인 사실 관계부터 다르다”고 말했다. 나 전 의원은 또 “기소된 사건(이완용 사건)을 배당받은 박은정 검사는 지난 2006년 1월 중순경 불과 10여일 정도 사건을 담당했을 뿐 박 검사가 출산휴가를 가게 돼 최모 검사가 사건을 재배당 받아 수사한 후 2006년 4월13일 기소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박 검사는 기소과정을 실질적으로 담당했던 검사가 아니라는 게 나 전 의원의 주장이다. 그는 “기소된 사건은 애초 청탁을 할 만한 사안도 아니었을 뿐더러 김 판사는 기소 시점부터 재판이 진행되는 과정에 미국 유학중이었기 때문에 기소 여부에 영향을 미칠 상황이 전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기소청탁 주장은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나온 또 다른 음해와 꼼수로, 저에 대한 집중적인 음해는 최근 제기된 ‘1억 피부과’ 논란에서도 증명되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그러면서 “연속된 음해와 편향된 매체의 정치공작에 굴복하지 않고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내비쳤다. 나 전 의원은 “이번 음해는 나꼼수, 시사인 등 편향된 매체의 정치기획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이것이 여성정치인에 대한 성차별적 공격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더 심각하며 성추행과 다름없다. (그 매체들이) 진보라고 자처하지만 그 행태는 전혀 진보적이지 않고 비열하고 치졸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지난달 28일 인터넷 팟캐스트 ‘나꼼수’는 “나경원 전 의원의 남편인 김재호 판사가 2005년 서울 서부지법 재직 당시 일본 자위대 행사장을 찾은 나 후보에 대해 비판글을 올린 네티즌을 기소해 달라고 서부지검 검사에게 기소청탁을 했다”고 주장했다. 오창균 기자 |